여성들은 생활공간과 일상에서 청결, 외모가꿈, 서비스 노동 종사 등을 이유로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며 동일 규모의 화학물질 노출에도 다른 건강영향을 보입니다. 특히 임신과 출산 등 재생산 과정을 통해 그 피해가 대물림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감군으로 꼽힙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 생물학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화학물질 관리 정책에서 젠더 관점에 따른 화학물질 관리정책이 수립되지 않고 않습니다.
이에 ‘발암행동’에서는 젠더적 관점이 반영된 다양한 국내외 화학물질 저감 정책과 환경건강 연구, 캠페인 사례를 찾아 공부하는 젠더X유해물질 모임을 운영하고 그 자료를 정리하였습니다.
2022 페미니즘 X 환경건강 의제 제안
- 젠더 관점을 반영한 정책 수립과 여성 참여
- 젠더 관점의 연구 확대와 성별분리 데이터 확보
- 여성 노동자 건강 이슈
- 성평등한 화학물질 인식개선 활동
- 화학물질 규제와 정보 표시 강화
- 지역 차원의 여성건강 정책
의제별 제안 보기
여러분은 각 의제에서 제안한 활동 중 어떤 활동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세요?
‘발암행동’은 ‘젠더 유해물질 2021’ 공부모임에 이어 올해에는 어떤 활동을 이어갈지 고민하고 있어요. 여러분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 국제 유해물질 반대 네트워크 ‘IPEN’ 젠더 이니셔티브 보고서
젠더 / 여성리더십 / 유해물질 / 국제 규약 / 엔지오 비영리단체
- WECF 보고서 <유해화학물질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여성과 화학물질 : 유해화학물질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Women and Chemicals: The impact of hazardous chemicals on women
왜 여성과 화학물질에 초점을 맞추는가?
여성들은 어디에서 화학 물질에 노출되는가?
여성들이 노출된 주요한 독성 물질은?
이니셔티브
- 여성, 화학물질 및 SDGs -새로운 정책 과제 및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보고서
- 서론 : 보고서의 맥락과 목적
- 화학 및 폐기물 분야의 남녀 불평등의 차원
– 정의
– 성 불평등 확인 : 성별 분리 정보의 필요성
– 성 평등을 촉진하기위한 도구로서의 성 주류화
– 유해 화학 물질에 대한 차별화 된 노출
– 화학 물질 및 폐기물의 건전한 관리와 관련된 의사 결정에 여성 참여
– 여성 및 화학 물질 정책 및 국제 화학 물질 안전 협약에 대한 간략한 개요
- 현재 떠오르는 정책 이슈에 대한 성별 분석
– 떠오르는 정책 이슈 및 관심 이슈 개요
– 페인트 속의 납
– 화학 물질 제품
– 전기 전자 제품의 수명주기 내 유해 물질
– 나노 기술 및 제조 된 나노 물질
– 내분비 교란 화학 물질
– 환경에 잔류하는 제약 오염 물질
– 과불화화합물과 안전한 대안으로의 전환
– 고위험 살충제
- 여성과 화학 물질과 SDGs의 관계
- 여성과 화학 물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추가 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