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32022공지사항단체소식어린이건강 자료자료주제별 자료환경건강뉴스 안전한 보육 환경 목표, 방문조사 뒤유해성 높은 몰딩, 바닥재 등 교체해먼지 속 프탈레이트 농도 감소 확인“보육환경 개선지원, 건강 고려해야”김 실장은 “환경호르몬 노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보정하더라도 친환경 리모델링으로 아이들의 소변에서 약 20%의 환경호르몬 노출 저감 효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친환경 건축재 등으로 보육공간의 환경을 개선하면 유해성을 충분히 줄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게 이번 사업의 가장 큰 성과였다”고 덧붙였다.다가오는 4월부터 어린이 활동공간에 강화된 안전 기준이 적용된다. 환경보건법 시행령의 ‘어린이 활동공간에 대한 환경안전관리기준’에서 현재 규제 중인 6종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에 신규 물질(DIBP)이 추가된다. 실내 활동공간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바닥재에 들어 있는 7종의 프탈레이트 총함량도 0.1% 이하여야 한다. 실내외 활동공간에 사용되는 도료나 마감재료에서 납의 함량 기준도 90ppm으로 강화했다.시행령 이전 설치된 어린이 활동공간은 유예기간을 거쳐 2026년부터 적용된다. 김 실장은 “현재 정부의 아동보육시설 개보수 및 기능보강 지원사업은 안전 면에서는 잘 대비하지만, 건강 면에서는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하며 “안전과 함께 건강이 고려된 보육환경 개선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겨레 신문 2022년 1월 14일 인용 기사 전체 보기 https://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9116.html Categories: 공지사항, 단체소식, 어린이건강 자료, 자료, 주제별 자료, 환경건강뉴스By 고 금숙2022년 2월 3일Leave a commentTags: 녹색건축바닥재어린이건강유해물질친환경건축친환경리모델링프탈레이트환경호르몬 Author: 고 금숙 Post navigationPreviousPrevious post:[공고] 2022년 유자학교 참여학급 모집 및 교사 자율연수 참가자 모집NextNext post:[환경뉴스] 캐나다 일회용 플라스틱 금지 품목Related Posts[유자학교] 국제 플라스틱 협약에 유자학교가 다녀왔습니다!2024년 12월 3일[경향신문] 환경호르몬 배출·재활용도 어려운 PVC 포장재, 대형마트서 버젓이 사용2024년 12월 3일플라스틱 아웃! 유자학교가 부산 국제 플라스틱 협약 행진에 참여했어요2024년 11월 24일2025년 유자학교 교사연수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학교 만들기’2024년 11월 19일[2024 유자강연 5] 쓰레기, 유해물질 없는 물찾았단 by 르다 활동가2024년 10월 25일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을 응원한다! 2024 유자학교 공모전2024년 10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