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발암행동’ 겨울학교 3강은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데이터해석과 활용방안>에 대해
최인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분석팀장이 강의하였습니다.
강의 자료는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세요.

바이오모니터링, 바디버든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바이오모니터링이란 사람의 생체시료에 들어있는 물질 혹은 대사산물을 측정하여
우리 몸에 들어있는 화학물질의 양을 가늠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부가 나서 환경보건국민기초조사를 통해
국민의 바이오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모니터링은 왜 필요할까요?
1) 국민 몸 속에 들어있는 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
2) 독성물질의 경우 건강이상을 일으키는 농도를 초과한 인구비율은 얼마나 되는지 측정
3) 개인 또는 그룹이 특별히 고농도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참고값을 설정
4) 시간에 따른 농도 추적을 통해 노출을 감소시키는 공중보건 노력의 효과를 평가
5) 노출수준의 그룹별 비교와 어떤 그룹이 높은지를 평가
6)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에 대한 연구의 우선순위 결정
을 위해 바이오모니터링이 활용됩니다.
그 예를 들어볼까요?
예상보다 훨씬 빨리 유연 휘밯유 사용 감소 감소로 인한 혈중 납 농도가 감소했다는 사실을 토대로
유연 휘발유 규제가 시작됩니다.
간접흡연으로 인해 코티닌이 증가함을 통해 금연을 확대하게 됩니다.
모유에서 잔류성 유기화합물인 PBDE가 검출된 사실을 토대로
해당물질의 규제를 하게 됩니다.
바로 이로 이유로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도 실시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212종을 조사한다고 합니다.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의 ‘과학과 환경’ 분야를 보시면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어요.제 2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를 분석한 결과를 볼까요?
• 3년 전과 비교할 때 혈액 중 납, BPA 등 4종은 다소 높아졌고, 수은은 비슷.
• 소변 중 프탈레이트 대사체류, 코티닌 등 11종은 낮아져.
• 프탈레이트 대사체류는 캐나다, 미국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지난 조사에 비해 모두 감소,
• 이는 2010년 환경부가 일부 프탈레이트를 유독물질로 지정하고, 식약처도 식품보관용 용기에 사용을 금지하는 등의 정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됨.
• 코티닌 감소는 2012년 금연구역 지정·확대 등 정책 시행의 효과로 추정됨.
성별, 연령별, 장소별로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해볼까요?
• 주요 노출대상: 50-60대 여성.
• 지역: 중금속-해안, DEHP 등 프탈레이트-해안, PBA-해안이 높아해안 > 농촌 > 도시 순으로 오염도 높아.
• 도로 인접성, 교통량, 새 가구 구입, 방향제 사용, 개인위생용품 사용, 플라스틱 용기 보관, 음용수(지하수, 약수) 섭취시오염도 높아져.
• 주요 노출원은 식품
그 외에, 비스페놀 A의 경우 미국, 캐나다보다는 검출수준은 낮지만 미국, 캐나다의 경우 감소 추세인 반면 우리는 증가 추세라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전체적으로 규제대상 물질은 규제를 통해 감소 중이지만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대체물질이 확산되는 중이라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의 응답이 이어졌는데요.
Q. 거주지 외에 학교나 직장 등 자주 이용하는 공간을 조사해야 하지 않나요? A.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3기에서는 3세 이상은 어린이집, 학교별로 조사할 예정입니다.
Q. 유해물질과 질병의 상관관계를 밝힐 수 있을까요? A. 이 자료는 대푯값, 참고치를 구하기 위한 것이지 질병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것은 아닙니다.그러나 50-60세 여성의 유해물질 노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니, 이 집단의 경우 유해물질과 관련된 질병의 추이를 조사를 필요가 있습니다.
Q. 더 필요한 분석은 무엇이 있을까요? A. 평균이 아니라 고농도가 발견된 집단의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Q. 비스페놀 A가 증가했는데요.A. 원인을 찾기 위해 비스페놀 A의 생산량, 수입량, 용도 등 여러 자료와 함께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Q. 고노출군이 여성인데 생리대 문제를 겪은 나라에서 어떤 활동이 필요할까요?A. 우리나라 여성들의 바이오모니터링을 더 면밀히 분석하고 많이 노출되는 물질 및 관련 제품 목록을 도출할 필요가 있습니다.
Q. 검출된 수준이 실제로 위해한 수준인가요?A. 이 조사의 목적은 농도의 문제가 아니라 왜 인체 구성물질이 아닌 화학물질이 몸에 들어있는지에 대한 사회적 문제제기를 하는 역할입니다. 고농도 노출군의 경우 추가적인 분석과 대책이 필요하고요.
최인자 팀자님은 통계를 내기 위해새로운 통계 프로그램을 며칠에 걸쳐 컴퓨터에 까는기나긴 여정을 통해 강의를 준비해주셨어요.:)고맙습니다.앞으로 시민사회가 국가 통계자료를 분석해더 나은 정책과 방향을 제안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