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삼정초등학교에서 ‘PVC없는 학교 만들기’ 교육을 진행했어요

7월 10일(수) 오전, 울산 삼정초등학교에서 ‘발암물질없는울산만들기’ 주최로 PVC없는 학교만들기 교육이 있었습니다. 강사와 조사요원, 측정장비는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에서 지원하였습니다. ○ 학생교육은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3, 4교시에 진행하였고, XRF(휴대용 검사장비)를 이용해 학교와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구교재, 슬리퍼, 학용품 등을 실시간 조사하였습니다.     실내화, 가방     비닐 필통     학용품 측정 XRF 조사결과안전, 주의, 위험 스티커 부착해서 진열해 놓고 있음 필통조사 내용 중 특히 납농도 매우 높게 측정됨- 위험 기준치 100ppm인데, 측정 결과 1045ppm 확인, 위험기준치보다 10배 넘게나옴 학생들의 용품을 XRF로 측정하고 있는 모습 ○ 학부모교육은 11시부터 시청각실에서 약 60여명…

[해외뉴스] 미국 26개 주의 독성물질 관련 규제 강화 노력

1. 첫 번째 소식 ‘독성화학물질관리법’ 개혁을 요구하는 미국의 시민사회단체들은 연방법 개정안을 제출하여 의회를 압박하면서도, 한 편으로는 주별로 더 강력한 화학물질 규제를 도입하도록 이끌어내는 투트랙 전술을 구사하고 있다. 주별 운동을 이끄는 연대기구는 “안전한 주 만들기(Safer States)”이다. 2013년 1월 23일 ”안전한 주 만들기“에서는 10년 동안 19개 주에서 93개의 화학물질 정책이 마련되었는데, 2013년 현재 26개 주에서 화학물질 정책이 강화될 예정이라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이 내용은 “안전한 주 만들기” 특히,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적극적으로 다뤄질…

금속가공유 유해물질 가이드라인 협약업체 실사작업

금속가공유 유해물질 가이드라인 협약업체 적용결과 실사작업 시작 2013년 협약 차기개정을 위한 중간점검 – 가이드라인 적용결과 확인 금속노조는 지난 3월 8일(금) 금속가공유 유해물질 가이드라인 적용여부와 관련된 후속간담회 진행 후, 후속작업으로 가공유업체의 가이드라인적용 여부 확인을 위한 실사작업을 시작했다. 금속노조는 현재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과 함께 현재 총 15곳의 가공유업체와 가이드라인 협약식을 제정 하였고 적용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업체 13곳에 대한 실사작업계획을 세우고 1차로 실사작업을 실시했다. 1그룹으로…

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는 3대 수칙

학교생활 속 발암물질로부터 우리아이를 지키는 3대 수칙 발표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 있는 필통, 지우개 사용자제 등 10개 사항 공개해 – 발암물질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발암물질 국민행동)은 3월 2일, 개학과 입학을 맞아 초등학교 우리아이 건강 지키기 3대 수칙으로 ‘초등학교에 다니는 우리아이!! 튼튼하고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한 3대 수칙’을 발표하고 서울 노원구 상계동에 있는 상원초등학교 앞에서 캠페인도 전개한다. – ‘초등학교에…

[자료집] 어린이 용품 유해물질 저감대책 마련 토론회

안전한 어린이 용품을 위해 시민단체와 정부 국회 그리고 마트가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지난 12월 19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 어린이 용품 유해물질 저감대책 마련 토론회– 어린이 용품 안전관리 제도개선 방향 및 대형마트의 적극적 역할에 대하여 입니다. 토론회 내용을 한눈에 살필 수 있는 자료집을 함께 첨부했습니다.

[보도자료]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식품에서 환경호르몬 물질 비스페놀A(BPA) 검출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식품에서 환경호르몬 물질 비스페놀A(BPA) 검출 분석대상 29중 25개(86%)서 발견…통조림 식품 관리강화 서둘러야 초등학교 급식 식자재 납품 목록을 근거로 자주 이용되는 통조림 제품과 BPA 용출이 우려되는 제품 29개 중 25개(86%) 제품에서 BPA 검출 이중 꽁치와 참치, 스파게티용 소스에서 BPA가 높은 수치로 검출됨. 특히 꽁치 통조림은 조사제품 4개 모두에서 높게 검출돼 통조림 용기의 특별한…

[언론보도] 중금속 장난감 우리 아이들이 위험하다

2011년 9월 21일 KBS2 <굿모닝 대한민국>에서 중금속 장난감 문제를 다루었습니다. 지난 6일 발표한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의 조사결과도 많이 인용되었습니다. KC마크만 받으면 대충 만들어도 된다는 장난감 제조사나 수입사도 문제지만, 이들 판매하고 PL제품을 생산유통하는 대형 마트도 책임을 면하기 어렵습니다. 해마다 반복되는 아이들 장난감 속, 중금속과 유해물질 검출소식…… 올해가 마지막이길 바래봅니다.

<발암신호등> 캠페인 기자회견 이모저모

지난 12일, 종로구 적선동 ‘지금 여기’에서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준비위윈회 발족식이 열렸습니다. 이날 발족식에는 노동환경건강연구소를 비롯해 환경, 노동, 생협, 교사, 학부모 등 다양한 시민사회단체들이 발암물질 없는 사회를 만들고자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지난 2년간 지속된 발암물질 감시네트워크의 활동과 성과를 바탕으로 탄생한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에 새로운 단체들이 대거 참여함에 따라 활동의 폭과 깊이가 더해질…

[정정 보도자료]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발표 정정 요청

보도자료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준)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5층 02-490-2089(fax 2099)담당 : 김신범(010-8415-3480), 최인자(02-490-2092) 2011년 9월 7일 정정보도요청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준)에서는 2011년 9월 6일 이마트 본사 앞에서 ‘이마트야, 환경호르몬과 납으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지켜줘’라는 캠페인을 진행하였고, 이마트에서 수거한 어린이 용품의 조사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발표된 내용 중에서 일부 내용이 사실과…

[보도자료] 발암신호동: 우리 몸 속 유해화학물질을 찾아라

과연, 우리 몸에는 얼마나 많은 발암물질이 들어있을까? 기자회견 순서 ◆ 일시 : 2011년 7월 12일(화) 오전 11시00분  ◆ 장소 : “지금 여기” (후 빌딩 3층, 경복궁역 4번출구, 3층 까페 옆 골목으로 들어오면 됩니다)  ◆ 진행 순서  사회 : 임상혁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  1)기자회견을 열며 (인사말) : 이미경 의원(민주당), 홍희덕 의원(민주노동당), 남미정(여성환경연대 으뜸지기), 박유기(금속노조 위원장), 박석운(진보연대 대표)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