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신문] ‘유해물질 없는 학교’ 향한 작지만 큰 걸음 내딛다 (2020.11.20)
한겨레 신문 ‘서울&’ 코너 1면에 유자학교 내용이 실렸습니다. 쑥쑥 커가는 유자학교, 함께 보실래요? 전체 기사 읽기 http://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7569.html
Details한겨레 신문 ‘서울&’ 코너 1면에 유자학교 내용이 실렸습니다. 쑥쑥 커가는 유자학교, 함께 보실래요? 전체 기사 읽기 http://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7569.html
Details유자학교를 시작했어! 어린이들이 생활하는 학교는 물론 문방구, 체육용품, 장난감에서 유해물질이 나올 수 있어! 환경호르몬과 중금속 들어봤지? 그래서 나, 유자는 어린이들과 함께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운 ‘유자’학교를 시작했어 우리의 활동 4가지 유해물질 탐정단: 측정기기로 일상에 퍼져 있는 유해물질을 찾아냅니다. 플라스틱 바이바이: 나와 지구를 해치는 플라스틱을 덜 쓰는 방안을 실천합니다. 학용품에 숨겨진 비밀: 유해물질이 들어있지 않은 착한 학용품과 체육용품을 사용합니다. 모두를…
Details이뉴스투데이 박기홍 기자 2020.11.04 본 개회식은 환경부·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노동환경건강연구소·발암물질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여성환경연대·일과건강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가 주관한다. 이번 개회식은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환경부 페이스북과 유튜브를 통해 라이브로 방송하며, 화상어플(ZOOM)을 활용해 일반 국민들도 쌍방소통이 가능하게 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환경부 홍정기 차관은 축사를 통해 “앞으로 문명과 인간, 자연의 공존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초점이 맞춰져야 하며, 정부가 인증한 화학물질과…
Details제1회 화학안전주간에 맞춘 시민사회 의견 돌아오는 4일(수)과 5일(목) 양일간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 국민행동, 여성환경연대, 일과건강, 환경정의, 환경운동연합이 환경부와 공동으로 제 1회 화학안전주간을 진행한다. 그동안 한국사회의 화학물질 관리 제도의 성과와 한계를 돌아보고, 화학물질로 부터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정부와 시민사회, 기업이 공동으로 어떠한 노력을 함께 해야 할지 모색하는 자리이다. 이번 ‘화학안전주간’ 행사는 가습기 살균제 참사, 구미…
Details‘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운 안전한 학교’ 유자학교 가방에서도, 지우개에서도, 가구와 축구공, 색연필에서도 유해물질 없이 건강하게 학교다니려면 어떻게해야 할까? 이 어려운 주제로 송중초등학교 아이들과 함께 수업을 했습니다. 어떻게 했는지 궁금하시죠? 환경부 #화학안전주간 에서 방영 될 유자학교 예고편을 공개합니다! 11월 5일(목) 오후 3시30분~4시 ‘유자학교’ 본편은 환경부 유투브, 페이스북, 네이버TV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송중초등학교 친구들과 함께하는 유자학교! 많이 봐주세요! 더불어…
Details마을도, 노동자도, 소비자도 화학물질로부터 더 안전 하려면, 우리가 함께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화학안전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제1회 화학안전주간’이 11월 4일~5일,정부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립니다. 11월 4일(수) 오후 2시, ‘제1회 화학안전주간 기념식’ 11월 4일(수) 오후 4시, 화학안전제도 정책토론회’ 11월 5일(목) 오후 2시, ‘생활 속 화학물질 다이어트’ 강연 11월 5일(목) 오후 3시 30분,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운 건강한 학교…
Details여러분 안녕? 나는 “유자”라고 해. 내 이름은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운 학교란 뜻이야!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물건들은 화학물질로 만들어지는데, 이 중 어떤 물건에는 우리 건강을 해치는 유해물질이 들어있어. 유해물질은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등을 말하는 거야. 아토피, 천식, 비만, ADHD 알고 있지? 이런 게 모~두 유해물질에 영향을 받는다고 해. 우리처럼 성장기에 있으면 유해물질이 우리 몸에 더 더 빨리 흡수돼서 위험하대. (으, 무서워) 그래서 유자가 나선 거지!…
Details[논평] 구글 파일 (내용 업데이트 될 경우 바로 반영) https://docs.google.com/document/d/1T4UZrlsCbH58L64Bm9prvxcJJZqEC4FtGMb0khU-gLc/edit?usp=sharing [논평 IPEN] 작성해주신 IPEN의 조 디간지 님께 감사드려요!https://ipen.org/news/south-korea-require-lead-safe-paints-seoul-city-managed-facilities-and-public-places 2020년 9월 25일 서울시는 ‘국제기준 준수 납 저감 페인트 사용 다자간 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납 함량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수준 이하로 낮고 안전성이 뛰어난 제품을 시가 관리하는 시설과 공공장소에 사용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협약에는 5개 페인트 제조기업과 한국페인트잉크공업협동조합,…
Details17일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화학물질 취급시설 정기검사를 또다시 3개월 유예하겠다고 발표했다.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은 매년 검사를 받아야 하지만, 정부는 지난 4월 코로나19 대책의 일환이라며 정기검사를 6개월 유예해준 바 있다. 또다시 정부의 정기검사 유예 입장이 발표되자 기다렸다는 듯이 중기중앙회 등 경제단체는 내년 말까지 유예할 것을 주장하는가 하면, 『화학물질관리법』 법령 개정까지 언급하고 있다. 기업과 경제단체들이 화학물질 취급시설…
Details생활환경 상담소 <질문하는 나무🌳> ✔️ ‘질문하는 나무’는 불안한 화학제품부터 매캐한 미세먼지까지 일상 속 환경문제에 대해 궁금한 점을 질문하면 전문가에게 답변받을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질문하는 나무는 전문가 그룹을 연계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축적된 질문과 답변을 사회의제로 키워내려 합니다. 막연한 불안을 합리적 의심과 질문으로 바꾸어낼 수 있다면 사회는 더욱 안전해질 거예요!✔️ 평소 궁금했던 것이…
D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