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젠더 유해물질 모임] WECF 보고서 <유해화학물질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여성과 화학물질 : 유해화학물질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Women and Chemicals: The impact of hazardous chemicals on women 왜 여성과 화학물질에 초점을 맞추는가? 여성들은 어디에서 화학 물질에 노출되는가? 여성들이 노출된 주요한 독성 물질은? 이니셔티브 #화학물질 #여성건강 주최 |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콘텐츠 생산 | 2021 젠더 유해물질 모임 참가자들 편집 및 정리 | 고이지선(젠더 유해물질 모임 참가자), 고금숙,…

[2021 젠더 유해물질 모임] 2017 국제 유해물질 반대 네트워크 ‘IPEN’ 젠더 이니셔티브 보고서

국제 유해물질 반대 네트워크 ‘IPEN’ 젠더 이니셔티브 보고서를 읽고 국문 번역본을 공유합니다. #젠더 #여성리더십 #유해물질 #국제 규약 #엔지오 비영리단체 주최 |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콘텐츠 생산 | 2021 젠더 유해물질 모임 참가자들 편집 및 정리 | 고이지선(젠더 유해물질 모임 참가자), 고금숙, 배보람, 박수미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지원 | 세상을 바꾸는 작은변화, 아름다운재단

[2021 젠더 유해물질 모임] 유해물질 X 페미니즘 공부모임 보고서 모음

노동자와 어린이 등 유해물질에 취약한 집단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캠페인이 그동안 운영되어 왔지만, 여성의 몸을 중심으로 한 젠더적 관점은 간과되어 왔다. 유해화학물질 노출은 성별, 직업, 거주지역과 같은 사회경제적 조건에 따라 다르며, 노출에 따른 피해도 단일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여성들은 생활공간과 일상에서 청결, 외모가꿈, 서비스 노동 종사 등을 이유로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며 동일 규모의 화학물질 노출에도 다른…

[연구] 데오도란트 및 바디 스프레이 제품에서 1급 발암물질 벤젠 검출

59개의 데오도란트 및 바디 스프레이 제품에서 1급 발암물질 벤젠이 검출되었습니다. 벤젠은 세계보건기구, 국제암연구소 등에서 백혈병과 암을 일으키는 고위험성 발암물질로 지정된 성분입니다. 그런데 우리 코로 흡입되는 일부 바디 스프레이 제품에서 미 식약처의 제한 농도인 2ppm의 최대 9배에 이르는 벤젠이 검출되었습니다. ㅠㅜ  이번 조사를 진행한 Valisure는 각 기업에 해당 제품의 리콜과 미 식약청에 의약품과 화장품의 벤젠 오염에…

[젠더 유해물질 공부모임 ②] 여성건강에 대한 온우주적 시점

오늘은 서울역 회의실에서 모였습니다. 너무 진지하게 공부에 임해서… 나중에 회의에 오신 발암행동 운영위원장님께서 숨소리조차 내지 못했다는 후문이 있습니다. 재생산, 안전한 섹스, 작업과정에서의 여성건강, 일터, 출산의 의료화 등 여성건강을 온우주적 시점으로 다뤘다고나 할까요. 발제자료가 너무 좋고 번역도 훌륭합니다. 자발적으로 공부 모임을 위해 준비해오신 분들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이번 발제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Women and Chemicals: The impact of…

[보고서] 화학물질 오염으로 바다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다!

증가하는 화학 물질 및 플라스틱 오염 수준은 세계 어류 개체수 및 기타 수생 생물 감소의 주요 원인입니다. 이 보고서는 화학 오염이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를 지원하는 수생 먹이 사슬에 어떻게 악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최신 과학 연구를 한곳에 모은 최초의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어류 감소가 남획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전체 수생 먹이 그물이 심각하게 훼손되어 맨 위의…

[보고서] 어린이 녹색생활환경 구축연구

어린이 녹색생활환경 구축연구(Ⅱ) : 위해저감을 위한 녹색소비 이행전략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20 보고서에 ‘발암행동’ 박수미 사무국장께서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 사업을 정리해주셨습니다. 제1장 서 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연구의 내용 및 수행 체계 제2장 위해 관리와 녹색소비1. 녹색소비의 정의2. 생활환경의 녹색화3. 개념 및 범위 제3장 어린이 녹색생활환경 관리 사례1.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

[2020 겨울학교3] 플라스틱 유해성 연구

원래 2020년, 2월에 예정되어 있던 유해물질 활동가 네트워크 및 공부 시간인 ‘겨울학교’가 초여름에 열리게 되었습니다. 지난 2월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강의를 열지 못한 점 죄송팝니다. 오픈하지 않고 비공개로 운영위 참여 단체 소속 활동가들만 하루에 4강을 듣는 형태로 축소하였습니다. 2020 겨울학교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살생물제 관리 제도의 사회적 배경과 국내 살생물제 관리 방향 : 김신범 운영장 (발암행동)…

[자료집] 2019 시민노동자가 만드는 화학안전포럼 정책보고서

목차  Part 1. 2019 시민노동자가 만드는 화학안전포럼 정책보고서  시민 노동자 정책은 왜 필요한가  포럼은 어떻게 설계되었나  포럼 질문 그리고 질문이 낳은 질문 포럼 평가 한국사회 안전해질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안전해질까 시민과 노동자의 화학안전 정책  Part 2. 더 읽어보기 자료  2019 화학안전정책포럼 몸풀기 발제 자료  우리는 어떤 사회를 원하는가  국민이 원하는 관리 VS 현재의 관리…

[자료집] 시민과 함께 만드는 환경보건 정책 토론회

시민과 함께 만드는 환경보건 정책 토론회가 2018년 10월 23일에 열렸습니다! ○ 취지 및 배경  – 서울시와 시민사회는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만들기’ 협치 사업을 통해 학교와 어린이집, 네일숍, 공공화장실 등 유해물질 사용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시민의 안전을 위해 대안을 마련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음 – 관련 협치의 성과로 서울시 환경보건조례가 제정되고, 시민 안전을 위한 첫걸음이 시작됨. 또한 시민과 밀접한 공간에서의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정책적 대안들이 제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