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집] 창립총회 및 화평법토론회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원한다’
2013년 11월 12일에 진행된 발암물질국민행동 창립총회와 화평법 토론회 자료집입니다.
2013년 11월 12일에 진행된 발암물질국민행동 창립총회와 화평법 토론회 자료집입니다.
휴가철이 본격으로 시작됐습니다. 여름휴가 때면 꼭 챙기는 물놀이 용품, 모기 퇴치제, 자외천 차단제는 얼마나 안전할까요? 많이 바르거나 사용하면 사람 몸에 해는 없을까요? 발암물질감시네트워크는 2010년 여름 휴가철을 맞아 시민들에게 ‘여름휴가 시민안전가이드’를 제시했습니다. 무심코 바르거나 사용한 이들 용품에 어떤 유해한 물질이 들어있는지, 대신할 것은 없는지 궁금하신 분은 첨부한 파일을 내려받아 확인하세요.
발암물질감시네트워크가 지난 2월 국내 최초로 발암물질목록을 발표했다. 노동자·전문가와 시민단체가 함께 작성한 목록으로 다양한 발암물질을 찾아내고 알권리를 실현할 근거를 마련했다. 노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일터에서 사용되는 세척액·이형제 등 다양한 화학물질 중에 어떤 제품에 발암물질이 얼마나 함유돼 있는지 정보가 필요하다.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소비제품 중에 어떤 발암물질이 함유돼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제공돼야 한다. 소비제품에 대한…
어떤 화학물질이 암이나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나 환경 중에 오랫동안 잔류해 생태계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면 가장 좋은 해결방법은 무엇일까. 누구나 쉽게, 그리고 상식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대안은 안전한 물질로 대체하는 것, 또는 생산공정을 대체하는 것을 꼽을 것이다. 물론 이것을 모든 경우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기술적으로 불가능할 수도 있고 막대한 돈이 들어 불합리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직업성 암은 우리 사회에 얼마나 부담을 주고 있을까?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과학자들이 있다. 직업성 암의 규모를 추정하여 사회가 질 부담으로 표현함으로써 관심과 대책을 이끌어내기 위함이다. 영국에서는 이러한 노력이 수년에 걸쳐 진행중이며, 이에 대한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그 결과 전체 암 사망자의 5.3% 전체 암 등록환자의 4.0%가 직업성 암으로 추정되었다. 연구자들은 이 결과는 매우 엄격한 추정치라고 밝혔다.…
직업성 암, 환경성 암 예방에 진척이 없는 이유 메사추세츠 로웰대학 환경보건학 연구소의 크리벨(Kriebel) 박사는 노동현장과 일반환경에서는 각종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노출될 수 있음에도, 국가적으로 화학물질로 인한 암을 예방하는 데 전혀 진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주요 이유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꼽았다. 1) 암의 1차 예방에 충분한 기금이 투입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국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에서는 전체 예산의 10% 미만이…
페인트의 납 검출시험 이후 제도적으로 납을 규제하기 위해 페인트 업계, 환경부, 신창현 의원실, 발암행동, 그리고 국제단체인 IPEN이 모여 정책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개최하였습니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의 이윤근 소장님께서 좌장을 김원 팀장님과 IPEN의 조 디간지 님께서 발제를 맡아주셨습니다. 그리고 환경부, 주요 4대 페인트 업체, 발암행동 고금숙 활동가가 토론을 하였습니다. 김원 팀장은 2019년 서울시 녹색위 사업으로 진행한 41개 페인트 납…
페인트 납 퇴치작전 페인트 납빠! 납빼!! (#어린이건강 #납페인트 #중금속 #납중독 #페인트_납) ‘무연’ 휘발유를 들어보신 적 있나요? 바로 납을 첨가하지 않은 휘발유를 뜻합니다. 납을 촉매제로 사용하면 휘발유 효율이 좋아지지만, 배기가스를 통해 배출된 납이 토양과 바다에 쌓이고 우리의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납이 든 ‘유연’ 휘발유가 금지되었죠. 그런데 이 납이 버젓이 페인트에 들어있다고 합니다. 납은 중추신경, 뇌, 혈액체계,…
납의 건강영향 납은 어린이들의 지능 및 신경 발달에 해하는 나쁜 중금속입니다. 그래서 어린이 건강을 보호하고 공기오염을 막기 위해 휘발유에서 납을 금지시킨 무연 휘발유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어린이 아이큐 발달을 저해해 학습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엄마의 몸속에 든 납이 태아에게 전해지기도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납에 관한 한 안전한 기준은 없다”라고 말합니다. 그만큼 납 노출을 조심해야 합니다. 특히 어린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