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타파] 글로벌 삼성의 위험한 공장④ 이전된 위험 – 뉴스타파

뉴스타파의 삼성의 베트남 현지 협력사를 통한 위험의 외주화 뉴스를 공유드립니다. 노동자, 지역주민, 환경을 오염시키는 유해물질이 관리되지 않고 흘러넘치고 있고, 그 결과 37명의 노동자가 메탄올 집단 중독으로 병원에 입원해있는데요. 그 중 한 분은 사망, 16살, 17살의 공장 노동자는 거의 실명에 가까운 시력 손상, 뇌손상을 입게 되었습니다. ㅠㅜㅠㅜ 삼성전자 베트남 공장에서 유해 물질을 무단으로 방출하고, 조직적으로 은폐해…

[유해물질 사고] 삼성 내부고발자, 베트남 공장의 독성 화학물질 실태 폭로

삼성 베트남 환경보건안전 담당자였던 강 아무개 씨가 만연한 독성 화학물질 사용과 환경오염 실태를 폭로했다. 이는 지난 3월 16일 뉴스타파의 보도를 통하여 알려졌다.[1] 삼성의 악명 높은 비밀주의 때문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공장의 운영 실태를 보여주는 희귀한 자료이다. 뉴스타파는 보도를 통하여 수많은 베트남 전자산업 노동자들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고 전자제품 생산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투명성이 필요함을…

[시사인] 난방비 대란 시대, 언제까지 가스 난방 하고 살 거야?

학교 급식 노동자들이 기름 요리시 발생하는 흄에 노출되어 건강피해를 입은 사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최근 31명의 학교 급식 노동자의 폐암 사례가 밝혀졌는데요. 과연 대규모 급식에 참여하는 노동자나 기름 요리만 위험할까요.에너지 문제가 촉발한 가정 내 도시가스 사용 논란을 보면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가정에서 취사와 난방, 급수에 사용하는 편리한 도시가스… 서울에서 도시가스가 아니면 어떻게 요리하고 난방을 할지 상상조차…

[뷰티누리] 美 헤어·네일살롱 근로자, 여전히 화학물질 노출

미국에서는 화장품 전성분 공개에 이어 전문가용(미용실, 네일살롱 등에서 사용) 제품의 성분 안전성도 강화되는 추세라고 합니다. 캘리포니아에서 안전한 화장품 규제가 강화되면서 미국의 환경단체들이 그렇다면 전문가용 화장품 성분은 얼마나 표시되고 있고 안전한지 여부를 조사하였는데요. 전문가용 화장품은 그 표시정보도 불충분했고 여전히 유해한 성분이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미용실과 네일살롱 등에서 항시 미용제품에 노출되는 여성노동자 건강권을 고려할 때, 그리고…

[MBC] 학교 급식종사자 31명 폐암 판정‥”튀김류 조리 주2회 제한”

튀김 요리, 살만 찌는 게 아니었습니다. 고온의 튀김에서 배출된 미세 흄에 장기간 노출되면 폐가 영향 받을 수 있습니다. 집에서도 튀김 요리하실 때는 환기를 잘 하셔야 하지만 매일 노출되는 급식 조리 노동자의 경우에는 더욱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저감하는 환기 시설이 없는 곳에서 일하는 조리 노동자가 많았는데 이제야 폐암 직업병 인정과 환기시설 개선 등이 시작되었습니다. 늦었지만,…

[EU 환경규제] 유럽집행위원회, 화장품 내 알루미늄 제한 설정

유럽연합에서 화장품 제품군 내 알루미늄 제한 농도를 설정하자는 안을 고려중이라고 합니다. 알루미늄 성분은 색소나 발한억제제 역할을 하며 데오도란트, 립스틱 등에 사용되는데요. 현재 국내의 경우 사용한도나 금지 성분이 아닙니다.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이하 위원회) 소비자안전과학위원회 (Scientific Committee on Consumer Safety, 이하 SCCS), 다양한 화장품 제품군 내 알루미늄 제한 농도  설정 관련 의견서를 제출하였음. SCCS는 제품 내 금속이…

[경향신문 팜뉴스] ECHA, 의료기기 · 화장품 등 적용 ‘PFAS’ 사용 제한 보고서 채택

유럽화학물질관리청(ECHA)에서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고 영화 ‘다크 워터스’ 로도 알려진 과불화화합물의 단계적 사용금지를 검토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시행된다면 유럽 최대 화학물질규제가 된다고 합니다. 반도체 업체 등에서 강하게 반발하는 등 산업계의 거센 저항이 예상됩니다.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세상을 원하는 시민들이 관심을 갖고 규제를 지지해야 하지 않을까요. 보고서 검토에는 약 1년 정도가 소요된다 합니다. 기사 보기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375 기사 내용 요약 유럽화학물질청(ECHA)이…

[헬스조선] 플라스틱 속 프탈레이트, 백인여성 당뇨병 위험 높인다

플라스틱 속 프탈레이트에 노출되면 백인여성의 경우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노출을 피하는 것을 권한다는데요. 즉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것이 좋겠죠:) 기사 보기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3020901707&ref=go 기사 요약 플라스틱에 첨가되는 ‘프탈레이트’에 노출된 여성의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첨가되는 화학 첨가제다. 벽지나 바닥재, 필름, 시트, 식품…

[팜뉴스] ECHA, 의료기기 · 화장품 등 적용 ‘PFAS’ 사용 제한 보고서 채택

유럽화학물질관리청 (ECHA)가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고 영화 ‘다크 워터스’ 로도 알려진 과불화화합물의 단계적 사용금지를 발표했습니다. 환영합니다. 기사 보기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375 기사 내용 요약 유럽화학물질청(ECHA)이 총 10,000 종 이상 과불화화합물(per-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이하 PFAS) 사용 제한을 목표로 하는 ‘EU REACH 제한(restriction) 보고서’를 채택, 2월 7일 발표했다고 한국무역협회 브뤼셀 지부가 9일 보고서를 통해 전했다. 쉽게 분해되지 않아 일명 ‘영원한 화학물질(forever chemical)’로…

[뉴스퀘스트] 범고래 멸종 위험에 빠트린 것은 화장지… 화장지 독성물질 비누 포장재 등에도 많아

영원한 화학물질에 속하는 유해물질이 바다에 축적되고 그 결과 먹이사슬 상위에 위치한 범고래 몸속에 다량 농축되는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범고래는 떼죽음을 당했고 😭, 현재 멸종위기종에 속합니다. 인간은 영화 ‘아바타’는 사랑하지만 실제로는 이 경이로운 생명체를 죽이는 유해물질은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사 보기 https://www.newsque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188 기사 요약 죽은 범고래 12마리 조직 분석결과 엄청난 양의 ‘4NP’ 발견 연구팀은 범고래의 몸에서 발견되는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