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면] 존슨앤드존슨 2조 원 배상…’석면 파우더’ 발암 소송 패소

지난 2018년 미국의 여성들이 존슨앤드존슨의 베이비파우더를 사용하다 난소암 걸렸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리고, 미국 연방대법원이 피해자들에게 약 2조 3,520억 원을 보상하라고 판결했습니다. 베이비파우더에 원료로 사용하느 활석에 석면이 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 그리고 이것이 암과의 인과관계를 두고 법정공방을 벌여왔습니다. 기업은 안전의 문제가 없다고 주장해왔으며, 미 식품의약국(FDA)은 제품에서 소량의 석면을 확인했다고 밝힌바 있습니다. 존슨앤존슨은 전세계에서 판매되는 제품이라는 점에서…

[EWG] 더 안전한 기저귀 생활 가이드

2020년 12월 환경실무그룹(EWG)에서 일회용 기저귀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짚고 더 건강한 기저귀 생활을 알려주는 지침서를 펴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회용 기저귀에서 암, 생식 발달 장애 및 피부염과 관련된 살충제오하 유해화학물질이 검출되었다. 미국에서 기저귀 제품을 관리하는 소비자 제품 안전위원회(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는 기저귀 제조업체에 화학물질 유해성 자료를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제품의 성분을 공개할 필요가 없고 제조업체에서 공개하지 않기…

급식실 폐암 사망 ‘산재’ 첫 인정…“직업癌 대책마련 시급”

산업재해와 직업병은 큰 제조업 공장 위주로 인정되는 경향이 있어서 남성들 직군에서 많이 나왔습니다. 여성들이 근무하는 서비스 업종이나 영세한 일터에서는 직업병이 더 드러나기 어렵습니다. 여성들이 많이 일하는 학교 급식실도 그 중 하나입니다. 튀김, 구이요리에서 나오는 연기에 노출된 조리사가 폐암에 걸렸고, 산업재해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를 계기로 급식실 환기시설 점검과 안전장치 마련, 산업재해 신청 등에 그동안 묻혀온 급식실…

‘기준치 645배 초과’..’환경호르몬 범벅’ 어린이용 매트 등 30개 리콜

어린이용 바닥 매트에서 중추신경과 내분비계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호르몬 물질이 기준치의 최대 645배 이상 검출되었습니다. 어린이용 자전거에서는 최대 270배, 비즈공예완구와 스티커블록 등에서는 알레르기 피부염증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방부제 성분이 검출되었습니다. 섬유제품에서는 폼알데하이드와 납이 검출되었네요. 모두 어린이 건강에 유해해서 법적으로 규제하는 성분들입니다. 어린이용 바닥 매트, 자전거, 승용완구 등 21개 제품에서는 기준치의 수백배를 초과하는 환경호르몬과…

[환경부] 어린이 활동공간 마감재료 속 납 함유량 규제 강화

“어린이 활동공간 마감재료 속 납 함유량 규제 강화…법령 개정” 납은 어린이 두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이상 행동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유해 중금속입니다. 전 세계 아동 중 50%인 8,570만 명의 어린이가 납 중독의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그런데 전 세계 국가 중 70%가 전반적인 납 규제가 없는 실정이죠. 국내 납 규제는 어린이 제품의 경우 90ppm 이하, 어린이활동공간에는 600ppm…

[한겨레 신문} 두배 많은 ‘체내 독성’..이주노동자는 그래서 더 아프다

쓰레기도 제 3세계로 흘러내리고, 유해물질도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흘러내립니다. 아래 “두 배 많은 ‘체내 독성’..이주노동자는 그래서 더 아프다…” 라는 한겨레신문 기사를 공유합니다. 눈여겨 볼 점은 내국인 노동자 역시 위험 기준치를 초과하는 비중이 2.98% 라는 점입니다. 이주 노동자에게 안전한 노동환경은 당연히 내국인 노동자에게도 안전한 노동환경이 됩니다. 마치 지하철에 엘리베이터가 생기자 장애인은 물론 노약자 모두에게 이로운 것처럼요.…

[살균제] 이러다 바이러스 말고 사람을 잡겠어!

여러분, 우리는 가습기 살균제 비극을 아직 기억하시죠? 분사되는 살균제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 방역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면서 ‘소독, 세정, 항균, 항바이러스’ 등 온갖 살균 화학물질 사용이 급증했습니다. 그러나 방역을 짊어진 질병관리본부와 환경부에서도 사람에게 직접 분사할 경우 어떤 살균제도 인체에 무해하거나 안전하지 않다고 합니다. 직접 사람에게 뿌리는 살균제는 건강과 환경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는…

[친환경 문구] 새 학기, 친환경 문구는 여기서!

새 학기 새 문구를 사는 계절이 다가왔습니다. 친환경 문구를 사고 싶어도 어디서 파는지 어떤 제품을 사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친환경 문구 구입처를 공유드립니다! 친환경 문구를 구입할 수 있는 사이트 ♡ 녹색제품판매 (선물세트, 다양한 카테고리 제품) 녹색장터 : http://www.greenproduct.co.kr자연상점 : http://onlyeco.co.kr/ ♡ 친환경필기구 굿필코리아 : https://www.goodfeelkorea.com/에코아이코리아: http://ecoikorea.com/index.html친환경문구류 공장: http://www.gongjangs.com/친환경공책 작은것이아름답다: http://jaga.or.kr/?page_id=12803친환경필통 큐클리프: https://www.cueclyp.com/new ♡기타 다회용면티슈…

[Jtbc]아이들 쓰는 샤프·지우개·안경테·티셔츠 ‘유해물질 범벅’

새학기를 사는 신학기에 어린이용품에 유해물질이 검출된 사례가 보도되었습니다. 아이들이 사용하는 지우개, 샤프, 옷, 안경테, 가죽가방 등에서 어린이 건강에 영향을 주는 납(중금속)과 프탈레이트(환경호르몬)이 무더기로 검출되었습니다. 슬라임에서는 방부제가 높은 수치로 검출되었습니다. 납은 기준치의 최대 1112배, 프탈레이트는 392배 넘어 아이들이 입는 옷과 사용하는 학용품, 꼼꼼히 살펴보셔야겠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환경부가 신학기를 맞아 조사한 결과 납과 프탈레이트 같은 유해물질이 기준치를…

최초 분석 ‘업종별 암 지도’…폐암·백혈병 잘 걸리는 일터는? 산업재해 피해자 중에는 끔찍한 사고 뿐 아니라 일터의 유해환경으로 질병을 얻는 근로자도 많습니다. 하지만 인과관계 입증이 어려워서 산재로 인정받기가 힘든데요. KBS가 국내 언론 최초로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해 업종별 암 발병률을 분석했습니다. 어떤 일터에서 암 발병률이 높은지, 우한울 기자가 보도합니다. KBS는 연세대 의대와 함께 어떤 업종이 암에 취약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