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집행위, 식품접촉물질 BPA 사용 금지 규정 채택

유럽에서는 인체 접촉 식품용기에 비스페놀A 사용이 금지되는 법이 2025년 1월 20일부터 시행 중입니다. 18개월의 전환기간(2026년 7월 20일)을 거쳐 적용될 예정이며, 대체품이 없는 등 전환이 어려운 경우 추가 전환기간(2028년 1월 20일)으로 연장됩니다. 이미 젖병 등에서는 비스페놀A 사용이 금지되어 있지만 이번 규제로 실리콘, 고무, 금속 코팅 캔 등 플라스틱 이외의 소재도 식품용기에 비스페놀A 의 사용이 금지될 예정입니다.…

[글로벌 이코노미] EU, 소비재 ‘영구 화학물질’ PFAS 사용 제한 추진

유럽연합에서 ‘영원한 화학물질’으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 PFAS을 화장품, 조리기구 등 소비자 제품에 사용 제하는 법안을 2025년에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제시카 로스월 EU 환경담당 위원은 20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소비자 제품에 대한 PFAS 금지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며, 이는 인체와 환경, 산업계 모두에 중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북유럽 국가 화학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PFAS는 플라스틱 제조와 전자제품 생산 등 산업 분야에서 가장…

[굿뉴스] 유럽연합, 식품접촉재료에 비스페놀A 사용 금지 결정

 2024년 12월 19일, 유럽위원회는 잠재적으로 유해한 건강 영향으로 인해 비스페놀 A(BPA)* 사용 금지를 채택했습니다. 이는 비스페놀A가 금속 캔, 재사용 가능한 플라스틱 음료수 병, 디스펜서, 기타 주방용품의 코팅과 같이 음식이나 음료와 접촉하는 제품에는 사용 금지된다는 의미이며, 2026년에 발효될 예정입니다. 이미 비스페놀A는 유럽연합은 물론 국내에서도 유아용 젖병 등에 사용 금지 중이지만, 통조림까지 금지 범위가 확대될 예정입니다.

[2024 유자강연 5] 쓰레기, 유해물질 없는 물찾았단 by 르다 활동가

한달에 한번 찾아오는 유해물질 없는 자유로운 세상을 위한 강연 시리즈! 유자강연 다섯 번째 시간은 강우정(르다) 여성환경연대 활동가께서 열어주셨습니다. 생수는 언제부터 우리 생활에 자리잡게 되었을까요? 개인 권리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헌법소송이 제기되면서, 서울 올림픽이 개최되던 떄인 1988년부터 생수가 판매되기 시작했습니다. 생수가 등장한 지 약 30년이 되었습니다. 생수의 환경문제, 특히 플라스틱 오염 문제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뉴시스] “검은색 플라스틱이 암 유발…초밥 용기·후라이팬 등 조심해야” 

뉴시스 기사에 초밥 용기나 편의점, 마트에서 즉석식품 용기로 흔히 사용되는 검정 플라스틱 용기에서 발암물질인 난연제가 검출되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의 환경 및 건강 연구단체인 ‘독성물질 없는 미래(Toxic-Free Future)’와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VU)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연구자들이 실험한 검은색 가정용품 20개 중 17개 제품에서 난연제가 검출됐다.검은색 플라스틱에는 암 유발 및 호르몬 교란 물질인 난연제가 들어 있다. 난연제는 연소 저항력을 높이고…

[글로벌 뉴스] 어린이 장난감에서 중금속, 유해물질 검출!

환경 및 사회 개발 기구(ESDO)와 필리핀 BAN Toxics의 연구팀은 방글라데시 다카에 있는 ESDO 본사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연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XRF 분석에 따르면 검사한 160개 제품 모두에서 수은, 납, 브롬, 카드뮴, 비소 및 중금속과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POPs)과 같은 유해화학물질이 한 개 이상 검출되었습니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ESDO의 전 사무국장 겸 의장인 사이드…

[2024 유자강연 4] 오염으로 바라보는 용산 어린이정원 by 박상욱 활동가

한달에 한번 찾아오는 유해물질 없는 자유로운 세상을 위한 강연 시리즈! 유자강연 네 번째 시간은 박상욱 녹색연합 활동가께서 열어주셨습니다. 용산 어린이정원, 왜 문제일까? 시민들에게 개방되는 공원이 늘어나는데, 좋은 거 아닐까요? 공원을 공공의 거실이자 살롱이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럼에도 용산 어린이정원은 반길 수는 없는 오염된 땅입니다! 오늘은 녹색연합 박상욱 활동가를 모시고 용산 어린이정원과 다크투어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이 서울 한복판에…

[2024 유자강연 3] 플라스틱과 유해화학물질, 그리고 국제 플라스틱 협약 이야기 by 김원 박사님

한달에 한번 찾아오는 유해물질 없는 자유로운 세상을 위한 강연 시리즈! 유자강연 세 번째 시간은 김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실장님께서 열어주셨습니다. 2024년 11월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부산에서 마지막 회의를 앞두고 있는데요. 플라스틱 문제 중 유해화학물질에 초점을 맞춰 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이 필요하고,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지금 현 시점에 딱 필요한 강의였습니다. 최신 연구자료들을 정리해서 한 시간 동안…

[2024 유자강연 2] 생활화학제품과 화학물질저감우수제품 : 김은영 고양녹색소비자연대 사무국장님 강의

한달에 한번 찾아오는 유해물질 없는 자유로운 세상을 위한 강연 시리즈! 유자강연 두번째 시간은 김은영 고양녹색소비자연대 김은영 사무국장님께서 열어주셨습니다. 1번째 강의 황숙영 환경정의 국장님의 강연에서부터 이어지는 유해물질 이야기에서 이를 환경부가 자발적 협약과 전성분 공개를 통해 어떻게 구체적으로 구현하고 있는지, 화우품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알찬 시간이었습니다. 다음 중 생활화학제품인 것은? 아리송하죠? 전부 화학제품이 들어있으니 생활화학제품 아닌가요? 우리가 생각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