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겨울학교4] 해외 유해물질 반대활동의 동향과 시사점

원래 2020년, 2월에 예정되어 있던 유해물질 활동가 네트워크 및 공부 시간인 ‘겨울학교’가 초여름에 열리게 되었습니다. 지난 2월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강의를 열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오픈하지 않고 비공개로 운영위 참여 단체 소속 활동가들만 하루에 4강을 듣는 형태로 축소하였습니다. 2020 겨울학교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살생물제 관리 제도의 사회적 배경과 국내 살생물제 관리 방향 : 김신범 운영장 (발암행동)…

[2020 겨울학교2] 생활화학제품 자발적 협약 의미 및 나아갈 방향

원래 2020년, 2월에 예정되어 있던 유해물질 활동가 네트워크 및 공부 시간인 ‘겨울학교’가 초여름에 열리게 되었습니다. 지난 2월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강의를 열지 못한 점 죄송팝니다. 오픈하지 않고 비공개로 운영위 참여 단체 소속 활동가들만 하루에 4강을 듣는 형태로 축소하였습니다. 2020 겨울학교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살생물제 관리 제도의 사회적 배경과 국내 살생물제 관리 방향 : 김신범 운영장 (발암행동)…

[2020 겨울학교 1] 살생물제 제도의 배경, 국내 상황

원래 2020년, 2월에 예정되어 있던 유해물질 활동가 네트워크 및 공부 시간인 ‘겨울학교’가 초여름에 열리게 되었습니다. 지난 2월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강의를 열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오픈하지 않고 비공개로 운영위 참여 단체 소속 활동가들만 하루에 4강을 듣는 형태로 축소하였습니다. 2020 겨울학교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살생물제 관리 제도의 사회적 배경과 국내 살생물제 관리 방향 : 김신범 운영장 (발암행동)…

[정책] 재활용 플라스틱 속 유해물질, 한국은 면제라고?

장난감, 소비자 제품 등의 일상용품에 독성물질이 가득하네 유해물질이 든 플라스틱이 재활용되면 유해물질도 사라지지 않고 순환한다. 고로 난연제 성분을 포함한 제품이 재활용되면 난연제 성분(Brominateddioxins) 또한 재활용된다. 재활용 소재를 사용한 장난감과 소비자 제품에서 유해한 난연제 성분이 검출되었다.

[정책 민주노총] 제4차 비상경제회의 수출 활력 제고방안 화학물질 규제완화 발표에 대한 민주노총 입장

민주노총의 시의적절하고도 슬픈 성명서를 공유합니다. “가스질식 노동자 3명의 죽음을 애도하며코로나 핑계로 생명안전규제완화 요구하는 자본과 이를 수용하는 정부를 규탄한다” 제4차 비상경제회의  [수출 활력 제고방안] 화학물질 규제완화 발표에 대한 민주노총 입장 어제 하수도 공사 작업을 하던 노동자 3명이 가스 질식으로 유명을 달리했다. 119 구조대의 사고 장소 가스측정에서 유독가스인 황화수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가 검출됐다. 4월6일에는 고무공장에서 작업을 하던 노동자가 분쇄기에 빨려 들어가서 사망하는 사고도…

[해외 정책] 미국 뉴욕시 개인 위생용품 1,4 다이옥산 사용 제안하는 법 통과

미국 뉴욕시 개인 위생용품 1,4 다이옥산 사용 제안하는 법 통과 (뉴욕주 환경보호법 개정) 이에 따라 2022년까지 가정용 청소용품 및 개인 청결 위생용품은 2ppm까지, 화장품은 10ppm까지 1,4 다이옥산 함량을 낮춰야 합니다. 몇 년 전 국내 주방세제에서 암을 유발하는 1,4 다이옥산이 검출된 적이 있습니다. 발암행동과 여성환경연대가 검출시험을 한 적이 있었고 이마트 앞에서 캠페인도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우리도…

[정책] 화학물질 규제 한시 완화보다 국민 안전이 최우선 되어야

‘발암행동’의 네트워크 단체인 환경운동연합에서 코로나 사태를 맞아 화학물질 규제를 흔드는 기업의 시도에 항의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습니다. 지난해 화학물질 규제가 일본의 수출 규제 대응을 위해 한시적으로 완화된 지 일 년도 채 지나지 않아 코로나19를 핑계로 또다시 완화됐다. 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대통령 주재 제4차 비상경제회의를 개최해 「수출 활력 제고방안」으로 유해화학물질 시설 인허가 단축, 신규화학물질 시험자료 제출 생략 품목 확대…

EU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 조약에 난연제 면제 조항 삭제

케미컬와치 2020. 1. 27 (Chemical Watch 27 January 2020) “유럽연합은 이 결정으로 위험에 빠질 수 있는 구멍을 메우는, 공공보건을 위한 진일보한 결정을 내렸다.”  유럽연합,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 조약에 난연제 면제 조항 삭제  유럽연합은 스톡홀름 협정에서 재활용 소재에 관한 한 난연제 금지를 허용했던 면제 조항을 철회했다.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에 대한 스톡홀름 협약은 4가,  5가,  6가, 10가 브로모디페닐에테르의 사용을 금지해왔다.…

[전안법] 개정!

전안법이 개정되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작년 12월 개정된 전안법(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이 ‘18년 7월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새로운 제도에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안법 가이드북을 발간하였습니다. 가이드북의 첫 번째 파트는 제조‧수입업자, 구매대행업자, 병행수입업자 등 관련 업계별로 개정 전안법 시행에 따라 지켜야할 사항을 안내하고 있으며, 두 번째 파트는 그간 국표원이 개최한 20 여회의 전안법 설명회에서 참석자들이 궁금해…

[자료집] 2019 시민노동자가 만드는 화학안전포럼 정책보고서

목차  Part 1. 2019 시민노동자가 만드는 화학안전포럼 정책보고서  시민 노동자 정책은 왜 필요한가  포럼은 어떻게 설계되었나  포럼 질문 그리고 질문이 낳은 질문 포럼 평가 한국사회 안전해질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안전해질까 시민과 노동자의 화학안전 정책  Part 2. 더 읽어보기 자료  2019 화학안전정책포럼 몸풀기 발제 자료  우리는 어떤 사회를 원하는가  국민이 원하는 관리 VS 현재의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