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겨울학교] 화학물질 안전 관리와 시민사회의 역할
이미 봄이 되었지만, 용서해주시겠죠? 연말 연초 탄핵 정국으로 활동가들이 너무 바빴거든요. ㅠㅜ 그래서 이번 겨울학교는 봄에 열리게 되었습니다. 대신, 국내 화학사고와 화학물질 안전을 총 관장하는 화학물질안전원의 원장님께서 특강을 해주실 예정이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신청 https://forms.gle/3qxPS2N6RnskB9fPA
이미 봄이 되었지만, 용서해주시겠죠? 연말 연초 탄핵 정국으로 활동가들이 너무 바빴거든요. ㅠㅜ 그래서 이번 겨울학교는 봄에 열리게 되었습니다. 대신, 국내 화학사고와 화학물질 안전을 총 관장하는 화학물질안전원의 원장님께서 특강을 해주실 예정이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신청 https://forms.gle/3qxPS2N6RnskB9fPA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이 학교에서 사용하는 게시판·칠판 등 교구의 유해 물질 안전 기준을 강화하는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하였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제14조의2 조항을 신설하여 학교 내 교구·비품 등에도 유해 물질 공통안전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뼈대입니다. 장철민 의원은 “처음에 난감해 했던 정부도 몇 차례 회의를 통해 안전기준 방안을 모색하며 개정안을 함께 만들었다”며 “이미 정부의 변화는 시작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개정안을…
민주당 장철민 의원,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개정안 발의…교구 안전기준 적용 촉구 아름다운재단·일과건강, ‘에코교실 만들기’ 지원사업 통해 교육환경 개선 법 개정 추진 지난 11일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이 학교에서 사용되는 게시판·칠판 등 교구의 유해물질 안전 기준을 강화하는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번 개정안은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제14조의2 조항을 신설하여 학교 내 교구·비품 등에도 유해물질 공통안전기준을…
부산에서 지난 11.25 – 12.1 국제 플라스틱 협약의 마지막 회의가 열렸습니다. 많은 기대와 희망이 있었지만, 산유국과 일부 플라스틱 생산국 (한국을 포함해)의 반대와 소극적 태도로 타결을 보지 못하고 연장해서 회의를 하는 결과를 남긴 채 회의가 끝났습니다. 하지만 시민사회는 플라스틱 시대를 끝내기 위해 최선을 다해 활동했는데요.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운 학교 ‘유자학교’에서도 부산에 내려가 일회용 플라스틱에 반대하며 안전한 세상을…
‘발암행동’과 노동환경건강연구소에서 진행한 PVC 랩 유해물질 검출시험 결과가 박해철 의원실을 통해 경향신문에 보도되었습니다. 2024년 국정 감사에서도 이 이슈를 다룬 적이 있는데요! 부디 PVC 랩 규제가 한시 빨리 생기기를 기원합니다. 노동환경연구소가 마트, 시장 등에서 구매한 PVC 포장재들을 대상으로 프탈레이트가 들었는지를 확인한 결과 일부 PVC 포장재에서 프탈레이트가 검출됐다.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가소제로 대표적인 내분비계교란물질이다.…
나쁜 플라스틱과 일회용 플라스틱 추방을 위해 활동하는 유자학교에서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 행진에 참여하였습니다! 함께 해주신 성북기후행동 슨상님들, 유자학교 활동가님들 감사드립니다. 유자학교 전부교대 부설초등학교 서지선 선생님 반 학생들이 제작한 나쁜 플라스틱 PVC 아웃 이라는 현수막을 들고 구호를 외치며 힘차게 행진하였습니다. 더불어 유자학교에서 플라스틱 아웃과 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을 응원하며, 유자학교 학생들이 직접 그린 포스터를…
[유자학교 – 학교구성원 연수2]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학교 만들기 2025년 유자학교! 화학물질안전원에서 열리는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학교 만들기 A부터 Z까지 특별한 연수에 참여해주세요:) 유자학교 선생님들을 모십니다! 신청 https://bit.ly/20250113_yuja 프로그램 시간 내용 진행 1일차 13:00~13:30 등록 및 숙소 배정 13:30~15:30 생활 속 화학사고와 화학물질안전원 ? 고혜미(방송작가) 화학물질안전원 16:00~17:30 ‘화학물질 안전 꼬마 탐정단’을 소개합니다. 화학물질안전원 17:30~19:00 저녁식사 구내…
한달에 한번 찾아오는 유해물질 없는 자유로운 세상을 위한 강연 시리즈! 유자강연 다섯 번째 시간은 강우정(르다) 여성환경연대 활동가께서 열어주셨습니다. 생수는 언제부터 우리 생활에 자리잡게 되었을까요? 개인 권리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헌법소송이 제기되면서, 서울 올림픽이 개최되던 떄인 1988년부터 생수가 판매되기 시작했습니다. 생수가 등장한 지 약 30년이 되었습니다. 생수의 환경문제, 특히 플라스틱 오염 문제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운 건강한 학교 ‘유자학교’에서 2024년 11월 23일(토) 국제 플라스틱 협약의 마지막 회의가 열리는 부산에서 시민행진에 사용될 작품을 공모합니다. 전 세계적인 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을 응원하고 플라스틱 오염을 끝내기 위한 국제 규범을 만들어요! 접수 기간 : 2024. 10. 14.(월) ~ 2024. 11. 11.(월)까지 응모 주제 (공모전에 보내주신 자료는 1123 부산행진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아래 주제들로…
토론회 개최 소식과 법 개정 내용이 언론에 실렸습니다. 다음에서 보실까요? 토론회 보도해주신 언론과 기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이코노미 뉴스] 칠판에 유해물질 이렇게 많아? 사각지대에 노출된 아이들 https://url.kr/jaaea7 – 37개 초등학교 교실 1019개 제품중 43.6% PVC 검출 등 기준치 초과– 교사들 89% 유해물질 기준 인지 못해…시민사회 ‘특별법 개정’ 공감대 [교육희망] 칠판 등 학교용품에 유해물질 가득… “교실은 안전한가?” https://www.educh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