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품 지원] 글라스락 유리용기가 이렇게 사용됩니다.

글라스락은 5년 여 동안 변함없이 매년 약 5,000여 개 이상의 유리용기를 ‘발암행동’과 네트워크 단체들에 지원하는 활동을 해오고 있습니다. 이 유리용기들은 플라스틱 프리 캠페인,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시민교육, 아이쿱 생협과 한살림 조합원 모임과 강의, 제로 웨이스트 숍 알맹상점, 건강한 밥상 캠페인, 소외계층 건강 도시락 등 여러 활동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글라스락에 감사드립니다! 글라스락이 필요한 단체는 nocancer.kr@gmail.com으로 행사 내용과…

[2020 겨울학교4] 해외 유해물질 반대활동의 동향과 시사점

원래 2020년, 2월에 예정되어 있던 유해물질 활동가 네트워크 및 공부 시간인 ‘겨울학교’가 초여름에 열리게 되었습니다. 지난 2월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강의를 열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오픈하지 않고 비공개로 운영위 참여 단체 소속 활동가들만 하루에 4강을 듣는 형태로 축소하였습니다. 2020 겨울학교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살생물제 관리 제도의 사회적 배경과 국내 살생물제 관리 방향 : 김신범 운영장 (발암행동)…

[2020 겨울학교3] 플라스틱 유해성 연구

원래 2020년, 2월에 예정되어 있던 유해물질 활동가 네트워크 및 공부 시간인 ‘겨울학교’가 초여름에 열리게 되었습니다. 지난 2월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강의를 열지 못한 점 죄송팝니다. 오픈하지 않고 비공개로 운영위 참여 단체 소속 활동가들만 하루에 4강을 듣는 형태로 축소하였습니다. 2020 겨울학교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살생물제 관리 제도의 사회적 배경과 국내 살생물제 관리 방향 : 김신범 운영장 (발암행동)…

[2020 겨울학교2] 생활화학제품 자발적 협약 의미 및 나아갈 방향

원래 2020년, 2월에 예정되어 있던 유해물질 활동가 네트워크 및 공부 시간인 ‘겨울학교’가 초여름에 열리게 되었습니다. 지난 2월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강의를 열지 못한 점 죄송팝니다. 오픈하지 않고 비공개로 운영위 참여 단체 소속 활동가들만 하루에 4강을 듣는 형태로 축소하였습니다. 2020 겨울학교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살생물제 관리 제도의 사회적 배경과 국내 살생물제 관리 방향 : 김신범 운영장 (발암행동)…

[2020 겨울학교 1] 살생물제 제도의 배경, 국내 상황

원래 2020년, 2월에 예정되어 있던 유해물질 활동가 네트워크 및 공부 시간인 ‘겨울학교’가 초여름에 열리게 되었습니다. 지난 2월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강의를 열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오픈하지 않고 비공개로 운영위 참여 단체 소속 활동가들만 하루에 4강을 듣는 형태로 축소하였습니다. 2020 겨울학교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살생물제 관리 제도의 사회적 배경과 국내 살생물제 관리 방향 : 김신범 운영장 (발암행동)…

[정책 선거] 화학물질 정책공약, 낙제는 누구?

21대 총선! 화학물질 정책편! 환경운동연합에서 각 정당별 화학물질 정책을 평가하여 보기 좋게 정리해놨습니다. 정의당 녹색당의 정책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습니다. 화학물질 공약평가 바로가기    [보도자료] 총선 공약,  정의당 ‘진취적’,  민주당’반쪽 공약’, 미래통합당 ‘안전위협’ 21대 총선 정당 화학물질 공약 평가,  정의당 ‘가장 진취적’•더불어민주당 ‘반쪽 공약’•미래통합당 ‘안전 위협’ – 정의당 “현안 이해도 높아… 가장 구체적인 공약 제시” – 녹색당…

[정책] 화학물질 규제 한시 완화보다 국민 안전이 최우선 되어야

‘발암행동’의 네트워크 단체인 환경운동연합에서 코로나 사태를 맞아 화학물질 규제를 흔드는 기업의 시도에 항의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습니다. 지난해 화학물질 규제가 일본의 수출 규제 대응을 위해 한시적으로 완화된 지 일 년도 채 지나지 않아 코로나19를 핑계로 또다시 완화됐다. 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대통령 주재 제4차 비상경제회의를 개최해 「수출 활력 제고방안」으로 유해화학물질 시설 인허가 단축, 신규화학물질 시험자료 제출 생략 품목 확대…

전 세계적으로 페인트 납 규제 강화 캠페인 열려

[IPEN] 전세계적으로 페인트 납 규제 강화 캠페인 열려 발암행동에 속해 있는 국제 유해물질 반대 단체 ‘IPEN’에서는 페인트 속에서 납을 제거하고 법규를 강화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습니다. https://ipen.org/projects/international-lead-poisoning-awareness-week-2018 전세계적으로 8,570만 명의 어린이들이 예방적 조처를 받지 못해 납 중독의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이는 전 세계 아동의 약 50%에 해당하는 수치라고 해요. 또한 70% 이상의 국가가 납에 대한 규제가…

[납 페인트] 국제 유해물질 단체 ‘IPEN’에 실린 한국 납 페인트 보도자료

한국에서 판매되는 페인트에 납이 들어있는 검출시험 결과와 국내 페인트 속 납 규제가 국제기준인 90ppm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보도자료가 IPEN(독섬물질 없는 미래를 위해 100여 개 국가에서 500개 이상의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국제 네트워크) 홈페이지에 실렸습니다.  New Study Shows Some Paints with High Lead Levels Sold in Online Stores in South Korea 영문 보도자료 보기 https://ipen.org/news/new-study-shows-some-paints-high-lead-levels-sold-online-stores-south-korea

제 1차 화학안전 정책포럼이 열렸습니다.

오늘 첫 화학안전 정책포럼이 열렸습니다. 시민단체가 제안해 기업과 정부와 함께 화학물질을 관리하는 안전 정책을 토론하는 자리입니다.  김신범 운영위원장의 첫 발제로 왜 화학물질 관리가 필요한지, 정부, 기업, 시민단체가 함께 자유롭게 토론하는 자리를 만들어보자는 취지를 다지는 자리였습니다.  참석해주신 환경부, 기업, 전문가, 시민단체, 발암행동 운영위 단체들께 감사드립니다. 다음 2차 포럼은 김상헌 교수님의 화학안전 정책 발제가 이어집니다. 많은 분들이 함께 오셔서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