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겨울학교 1강]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시민사회 정책 제안

2019년 겨울학교가 드디어 시작되었습니다.  앞으로 3주간 약 80여명의 수강생들이 모여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시민사회 정책을 공부합니다. 그 첫 시간으로 김신범 샘의 강의가 열렸습니다. 1.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은 무엇일까? 국가 정책 감시? 국가 정책 제안? 주로 파수꾼과 감시 역할을 하고 정책을 요구하는 것에 머물러 있었지만, 시민사회 자체의 정책과 추진을 통해 정부가 짜놓은 판이 아니라 시민사회가 주도하는…

[2018 건강한 학교] 스포츠용품 유해물질 기준 수립

‘발암행동’은 2018년 서울시 녹색위 사업으로 ‘건강한 학교 만들기’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올해 ‘건강한 학교’의 주제는 유해물질 기준조차 만들어져 있지 않은 스포츠용품 이었습니다. 바로 학습교구(체육)의 유해물질을 점검하고 안전한 제품 목록을 제시하는 것, 이를 통해 학습교구 기준을 수립하는 것이었습니다.  1. 교육 먼저 공감해 형성을 위해 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유해한 플라스틱 강의를 진행했어요.  – 위험한 플라스틱_PVC 이야기 – 학생: 초등…

[변화] 노동부, 폴리우레탄 코팅장갑 사용을 자제 권고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은 지난 2018년 4월 30일  “코팅장갑의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를 요구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DMF가 검출된 제품은 폴리우레탄 코팅장갑으로 작업 중 손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제조, 건설, 운반, 조경, 환경미화 등 다양한 노동현장의 노동자들이 흔히 사용하고 있으며 업무특성상 노동시간 내내 착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시중에서도 원예용, 작업용 폴리우레탄 코팅장갑을 쉽게 구매하실 수 있답니다.  – 폴리우레탄 코팅장갑에서 간 독성물질인 디메틸포름아미드(DMF) 검출 –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생활용품안전법 유해물질 안전요건에 DMF 기준 추가해야…

[2018 겨울학교 8강] ‘생리대 사태’를 통해 본 여성건강 이슈와 활동방향

2018년 ‘발암행동’ 겨울학교 8강은  < ‘생리대 사태’를 통해 본  여성건강 이슈와 활동방향>에 대해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사무처장님께서 강의하셨습니다. 강의 자료는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세요.  첨부된 파일 중 맨 아래에 있습니다. 그날, 매직, 딸기잼… 월경을 왜 월경이라 말을 못해… 2017년 전까지만 해도 이런 시츄에이션이었죠. 그러다 갑자기 훅, 생리대 안전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여기저기서 월경에 대해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와우!)   우리만…

[2018 겨울학교 7강] 생리대 안전관리체계의 문제점 및 정책적 제언

2018년 ‘발암행동’ 겨울학교 7강은  <생리대 안전관리체계의 문제점 및 정책적 제언>에 대해  이종현 EH R&C 환경보건안전연구소장 님께서 강의하셨습니다. 강의 자료는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세요.  첨부된 파일 중 맨 아래에 있어요. 국내 생리대의 경우 의약외품으로 관리되는 반면, 다른 나라는 의료 기기나 공산품으로 관리합니다. 관리주체는 식약처 > 바이오생약국 > 의약외품 정책과죠. 의약외품 중 생리대는 시장규모가 큰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현 체계에서 피부감작작용…

[2018 겨울학교 6강] 임상의가 본 여성생식건강 실태와 제안

2018년 ‘발암행동’ 겨울학교 6강은  <임상의가 본 여성생식건강 실태와 제안>에 대해  조현희 가톨릭대학교 산부인과학 교실 교수님께서 강의하셨습니다. 강의 자료는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세요.  첨부된 파일 중 맨 아래에 있어요. 여성이 환경호르몬에 더 취약할까요? 여성건강은 남성건강과 다를까요? 여성과 남성은 1) 바디 구성(여성이 남성에 비해 체지방 3% 많고 수분 함량은 낮아), 2) 다음 세대 재생산과 관련된 차이로 인해 다른 건강 양상을 보입니다. …

[2018 겨울학교 5강] 독성 생리대로 본 여성위생용품의 유해물질과 안전

2018년 ‘발암행동’ 겨울학교 5강은  <‘독성 생리대'로 본 여성위생용품의 유해물질과 안전>에 대해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교수님께서 강의하셨습니다. 강의 자료는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세요.  첨부된 파일 중 맨 아래에 있어요. 최경호 샘께서는 생리대 사태를 맞아 자료를 찾아보시며, 여성건강 연구가 얼마나 부족한지 알게 되었다고 하십니다. 여성 생식기의 유해물질 노출에 대해 참고할 만한 연구도 별로 없지만,여성 생식기는 점막…

[2018 겨울학교 3강]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데이터해석과 활용방안

2018년 ‘발암행동’ 겨울학교 3강은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데이터해석과 활용방안>에 대해  최인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분석팀장이 강의하였습니다. 강의 자료는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세요. 바이오모니터링, 바디버든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바이오모니터링이란 사람의 생체시료에 들어있는 물질 혹은 대사산물을 측정하여  우리 몸에 들어있는 화학물질의 양을 가늠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부가 나서 환경보건국민기초조사를 통해 국민의 바이오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모니터링은 왜 필요할까요? 1) 국민 몸…

[2018 겨울학교 2강]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시민사회 역할 제안

2018년 ‘발암행동’ 겨울학교 2강은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에 대한 시민사회의 역할 제안>입니다. 2018년부터 환경부 자율협약에 가입한 생활화학기업은 제품에 들어있는 전성분을 공개합니다. 김원 선생의 1강에서 제시된, ‘시민의 손으로 안전한 제품 만들기’를 위한 정보 공개가 시작되는 겁니다. 그렇다면 시민들의 힘을 모아낼 시민단체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 환경정의의 이경석 팀장께서 시민단체의 역할에 대한 고민을 꼼꼼히 잘 정리하여 제시해주셨습니다. 더 많은 아이디어와…

[2018 겨울학교 1강] 시민의 손으로 유해화학물질 줄이기

‘발암행동’의 2018 겨울학교가 시작했습니다! 원래 강의 준비 따위에 연연하지 않으사  인생을 농담 따먹기에 매진하는 김원 팀장님의 캐릭터와는 달리!! 넘나 열심히 준비해주신 강의 덕에  우리 모두 유럽 사례에 비추어  ‘시민의 손으로 유해화학줄질 줄이는’ 사회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그려볼 수 있었습니다.  고로 최근의 화학물질 관련 유럽 캠페인에 대한 정보는 물론이고 우리가 무슨 일을 해야 할지  진정, 영감을 불어넣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