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국민선언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국민선언] 가습기 살균제 사고는 재발하지 않을 것인가? 가습기살균제 사고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화학제품의 유해물질에 대한 기사가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불매운동과 책임자 처벌, 피해자에 대한 적절한 보상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것은 우리가 너무나 많이 보아온 모습이다. 익숙한 느낌은 왜일까? 구미 불산 누출, 가습기 살균제, 세월호 참사… 사람이 희생되고 환경이 파괴되는 사건·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우리의 문제해결 방식은 비슷한 양상을…

화학사고 지역사회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간담회

화학사고 지역사회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간담회 및 IPEN 조 디간지(Joe DiGangi) 박사 초청 강연회 1. 목적 IPEN 등 해외의 독성물질에 대한 시민운동 및 노동운동 동향 이해 화학사고에 대한 지역대응체계 구축 연구 용역 관련 지역활동가 및 조 디간지 박사의 자문 조 디간지 박사와 한국 시민사회/노동조합 활동가의 교류 2. 주최 주최 :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주관 :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 3. 일시 및 장소 일시 : 2016년 5월 19일(목) 오후 2시 30분 장소 : 민주노총 회의실(13층 중회의실)…

[5.3 면목초 캠페인] 어린이에게 착한 학용품을!

5월 3일(화) 오전 10시부터 면목초등학교(중랑구 면목동 소재)에서 ‘유해물질로부터 아이들을 지키자’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녹색병원 산부인과 윤정원 과장을 모시고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성조숙증 발병과 환경호르몬이 성장기 어린이 체내 호르몬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생활용품의 유해물질 측정(휴대용 X-선 형광분석기), 중금속과 환경호르몬으로 부터 안전한 학용품 전시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환경성 질환(아토피, 천식, ADHD, 지능저하, 불임 등)은 학생 혼자의 힘으로 극복해 낼…

[겨울학교]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 2016 겨울학교

불산누출사고와 가습기살균제사고 이후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하 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이하 화관법)」이 제정되었습니다. 법 시행을 앞둔 2015년 초 시민사회단체와 노동조합의 활동가들이 모여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미국과 유럽의 유사제도를 이해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제도가 있어야 하는지 토론하고, 화평법과 화관법의 한계는 무엇이고 어떤 부분이 앞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 찾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시민사회단체와 노동조합이 두 법률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머리를 맞대고 토론하였습니다. 그 결과, 시민사회단체와 노동조합이 함께 원하는…

비스페놀A(BPA) 과연 안전한가?

비스페놀A(BPA) 과연 안전한가?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공동대표, 운영위원장 임상혁(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 BPA는 플라스틱·에폭시 수지·감열지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다. 세계적으로 매년 200만톤 이상이 소비되고, 한국에서도 BPA 시장 규모가 2조원을 넘는다고 한다. BPA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든 젖병·물병·식품저장 용기는 물론이고, 에폭시 수지로 코팅한 캔이나 종이컵에서 녹아 나오는 BPA가 문제가 된다. BPA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자 수 감소 등 남성 성기능에 영향을 주고, 어린아이의 성조숙증뿐만…

[간담회] 독성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세상 시민과 노동자의 손으로 만듭시다

<제안문> 노동자/주민/소비자가 함께 요구하는 2025년까지 독성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 Toxics-Free Korea 2025 * 초안작성 : 노동환경건강연구소·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화학물질감시네트워크 1. 현실진단: 문제 상황 한국사회는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가? 이 질문에 대해 우리는 ‘아니오’라고 단호하게 답변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1. 가습기살균제, 석면베이비파우더 사고 1.2. 제조업사업장에서 사용 중인 화학제품 50%에 발암물질이나 생식독성물질 함유 1.3. 불산 누출 사고 등 계속되는 환경 사고 1.4. 66% 제품에 기업비밀 1.5. 소아암, 소아천식, 각종 발달장애 증가 1.6. 정책의 투명성과 신뢰성 부족 2. 현실진단: 가능성 이러한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