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과 티베트의 고원에서도 과불화합물이 비로 내리고 있다.

인간이 만든 유해화학물질인 과불화합물(PFAS)이 남극이나 티베트의 고원과 같은 멀리 떨어진 곳의 눈과 빗물에서 확인되고 있습니다. 지난 20여 년간 음용수 내의 과불화합물 농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 줄여 왔으나,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전 세계의 자연환경에 과불화합물이 높은 농도로 확인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미국 등은 음용수의 과불화합물 농도를 줄이기 위해 많은 예산을 쏟아 관리하고 있습니다. 산업화한 지역에서는 빗물을 음용수로 사용하지 않지만, 지구의 많은 사람은 빗물 그 자체를 음용수의 자원으로…

[책 출간] 선생님, 유해물질이 뭐예요?

어린이들이 재미있고 쉽게 세상의 일을 배우는 ‘어린이 책도둑 시리즈’에서 <<선생님, 유해 물질이 뭐예요? : 유해 물질로부터 자유롭고 건강한 생활 만들기>>.가 나왔습니다!! ???????????? 어린이가 건강한 세상을 꿈꾸며 화학물질로 의기투합하여 유자학교 프로그램을 발전시킨 두 주역이 함께 공동집필한 책이에요. 바로 노동환경건강연구소의 김신범 부소장님과 책 125권 집필자인!!! 배성호 선생님입니다. 출판사 책 소개에 따르면 이 책은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유해물질 검출] 건강과 환경 위협하는 가짜꽃의 민낯

가짜 꽃 ‘조화’ 오래가는 만큼 나쁜 효과도 오래 가겠습니다. ㅠㅜ 합성재료로 만들어져 미세플라스틱이 떨어져 나오고요, 이번에는 몸에 안 좋은 유해화학물질까지 검출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꽃을 건넨다는 것은 축하하거나 애도하는 의미인데 실은 나쁜 유해물질을 건네는 행동이 되네요.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최근 공개한 가짜꽃 안전실태조사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시중에 판매·유통되는 가짜꽃 20개 제품 가운데 5개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단쇄염화파라핀과 다이옥신…

민·산·관이 함께 화학안전 중장기계획 수립 첫걸음 – 화학안전 중장기 목표 논의 토론회 개최

□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시민사회 및 산업계와 함께 4월 1일 오후 비즈허브서울센터(서울 중구 소재)에서 ‘2022년 화학안전정책에 관한 제1차 공개토론회’를 연다. 환경부는 지난해 5월부터 시민사회 및 산업계와 ‘화학안전정책’에 대한 범국민 소통·참여 체계(플랫폼)를 운영하면서 총 6차례에 걸쳐 공개토론회를 개최했다. 그 결과, △유해성에 따른 차별화된 지정관리체계로의 전환, △화학물질 안전관리 중장기계획 수립, △화학안전정책 범국민 참여 운영규정 마련이 우선 논의되어야 할…

화장품 내에 PFAS 사용을 금지해야 합니다 미국판 서명운동

미국 ‘유방암 행동’에서도 화장품에 사용하는 과불화홥물 PFAS의 사용을 금지하라고 서명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2021년 환경운동연합, 발암행동, 노동환경건강연구소에서도 국내 최초로 화장품 안에 든 PFAS 검출시험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미국에서도 이와 같은 활동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네요! 국내에서도 서명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함께 힘을 모아 목소리를 내주세요! https://campaigns.kr/campaigns/528

끝나지 않은 가습기살균제 참사 진상규명! 사법부는 정부와 가해기업의 책임을 물어라!

서울시 가습기살균제 건강피해자 180,843명 대비 피해신고 1,637명 신고율 0.9% 100명당 1명 꼴로 피해신고 매우 낮아 정부와 가해기업이 손 놓은 피해자 찾기에 시민들은 고통 받는다. 정부는 가습기살균제 참사 진상규명, 사법부는 정부와 가해기업의 책임을 물어라!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국내외 최악의 환경보건 참사다! 올해 8월 말이면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세상에 알려진 지 만 10년이다. 하지만 여전히 피해자들은 고통 속에서 살고…

제1회 화학안전주간 ‘함께 더 나아가는 화학안전’

마을도, 노동자도, 소비자도 화학물질로부터 더 안전 하려면, 우리가 함께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화학안전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제1회 화학안전주간’이 11월 4일~5일,정부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립니다. 11월 4일(수) 오후 2시, ‘제1회 화학안전주간 기념식’ 11월 4일(수) 오후 4시, 화학안전제도 정책토론회’ 11월 5일(목) 오후 2시, ‘생활 속 화학물질 다이어트’ 강연 11월 5일(목) 오후 3시 30분,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운 건강한 학교…

[성명서] 울산 한화케미칼 폭발사고, 철저한 조사와 대책을 요구한다

2년 만에 되풀이된 잔류가스에 의한 폭발 ! 더 이상의 데자뷰 현상은 없어야 한다. – 울산 한화케미칼 폭발사고, 철저한 조사와 대책을 요구한다 – 2015년 7월 3일 오전 9시 16분, 울산시 남구 여천동 소재 한화케미칼 2공장 폐수 저장조 폭발사고로 협력업체인 현대환경산업 노동자 6명이 사망하고, 경비원 1명이 부상당하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사고는 폐수처리장 시설 확충을 위해 가로 17m, 세로 10m, 높이 5m, 총 용량 700㎥ 규모의 폐수 저장조 상부에 설치된 펌프 용량을 늘리려고 배관을 설치하는 용접작업 중 일어났다. 지금까지 관계당국은 사고원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