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유해물질 시민워크숍] 1강 김원 샘의 어린이 건강 강의!

2022년 서울시 비영리 사업 지원으로 화목 유해물질 시민워크숍 강의가 온라인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약 180여 분이 신청하셔서 줌으로 하지 못하고 유튜브 실시간 라이브 방송으로 강의를 중계하였습니다. 참여해주신 참가자와 강의해주신 김원 박사님게 감사드립니다. 그럼 아래에서 강의 내용을 함께 볼까요. 바이오모니터링을 통한 어린이 몸 속 환경호르몬 측정 어린이들이 사는 건강한 환경을 위해 어떤 방법을 쓸 수 있을까요? 바이오모니터링을 통해…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4기, 일부 환경호르몬 증가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4기 결과가 일부 발표되었습니다. 전체 보고서는 2022년 1월 말 공개될 예정입니다. 성인과 어린이의 유해물질 노출 조사 결과 3년 전 이전 연구에 비해 일부 내분비교란화학물질(EDC)에 대한 노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네 번째 국가환경보건조사(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를 실시하여 어린이와 성인 6,000명을 대상으로 33가지 유해 물질에 대한 노출을 조사했습니다. 체내에…

[2019 겨울학교] 유해물질의 인체노출평가와 생체지표의 활용 관리자

2019년 겨울학교 세 번째 시간의 주제는 “유해물질의 인체노출평가와 생체지표의 활용”입니다. 김성균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님께서 열강해주셨습니다.:) 강의 공유드립니다.  1. 화학물질 노출과 독성에 대한 오해와 편견  독감이 유행일 때 타미플루 성분이 강물에서 급격히 검출되었음 우리가 먹고 마시고 사용하는 물건들에서 나온 화학물질들: 우리는 늘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있다. 그런데 모두 위험한 것일까? 예전에는 독성은 용량에 따라 달라지고 생각했으나 과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