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산모 사망률 높은 美…”임산부 혈액 속 화학물질 발견”

산모 제대혈 등에서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되는 등 유해화학물질이 인체에 쌓여 건강이상을 일으키는 증거가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결과는 선진국 중 산모 사망률이 가장 높은 미국에서 나온, 따끈따끈한 뉴스에요. 특히 플라스틱 생산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이 검출돼 더욱 우려된다 해요. 함부로 쓰고 버린 플라스틱이 돌고 돌아 태아와 산모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가디언은 “미국은 선진국…

[뉴스1] “WHO,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 내달 ‘발암 가능 물질’ 지정 계획”

체중이 늘지 않도록 제로 슈가와 칼로리 제로 제품이 유행하고 있는데요. 세계보건기구에서 인공 감미료인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지정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에 사용이 제한될까 봐 식품 업계는 반박하고 있는데요. 무엇보다도 안전성이 먼저 아닐까요. 아스파탐은 과자, 막걸리, 조미 식품 등에 설탕 대신 널리 사용되는 인공 감미료입니다. 기사 보기 https://v.daum.net/v/20230629193911859

[보고서] 플라스틱, EDCs 및 건강 | 내분비 교란 화학 및 플라스틱에 대한 공익 단체 및 정책 입안자를 위한 가이드

????플라스틱은 어디까지우리에게 파고들었을까요? 미세 플라스틱에 이어 나노 플라스틱으로한층 뜨거워진 플라스틱 이슈.그런데 플라스틱의 내분비 교란 화학 물질(EDCs)때문에 나의 후세대까지 쭉 영향을 받는다니? 플라스틱에 포함된 유해한 화학물질 중우리의 내분비계를 들쑤시는????EDCs에 대한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 플라스틱, EDCs 및 건강 내분비 교란 화학 물질 및 플라스틱에 대한 공익 단체 및 정책 입안자를 위한 가이드 2020. 12. * EDCs : Endocrine-Disrupting…

[전성분] 생활화학제품 성분 찾아보시나요?

???? 세탁세제, 광택제, 섬유유연제, 방향제, 디퓨저, 살균제, 욕실세정제 등을 ‘생활화학제품’이라고 합니다.  먹거리, 화장품에는 라벨에 전성분이 표시돼 있어 알레르기가 생기거나 성분이 궁금할 때 언제든 찾아보실 수 있는데요. 생활화학제품은 전성분 표시를 하지 않아서 문제가 생겨도 성분을 확인할 수가 없답니다.  ????????  그래서 환경부, 생활화학제품 기업, 시민단체가 모여 투명하게 전성분을 공개하고 평가해 그 중 유해한 성분을 줄이는 ‘생활화학제품 자발적…

[성명서]에쓰오일(S-OIL) 울산공장 사고는 인재다

-거듭되는 사고들 대기업도 예외 없어 – 원인 해결과 책임을 무시하는 중대재해법 흔들기 안 돼 ◯ 지난 19일 저녁 8시 51분경 에쓰오일(S-OIL) 울산공장에서 대형화재가 발생했다. 울산시 울주군에 위치한 원유정제공장(71개동, 70,554㎡)에서 압축밸브 정비 후 시운전 도중 폭발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불길은 20시간이나 타올랐다. 이 사고로 협력업체 소속 김모씨(39세)가 목숨을 잃었고, 9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사고의 충격은 주민들에게도 고스란히 전해졌다.…

[2022 유해물질 시민워크숍] 4강 조성진 샘, 유해물질과 반려동물 건강 이야기

오늘은 군사가족동물병원 조성진 박사님 모시고 반려동물과 유해물질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비정상적인 축산은 어떻게 가능할까 6마리를 낳게 된 몸으로 20마리를 낳는 과도한 생식능력 (돼지), 약병아리 시절 없이 급속도로 성장하는 성장속도(닭), 300킬로 육박하는 ‘정상’을 벗어난 몸무게 (소), 어떻게 이런 비정상성이 가능할까? 바로 모두 성장호르몬 덕분(?)이다. 유해물질 중 95%가 몸속에 모이는 곳 몸 밖으로 빠져 나가지 않는 유해물질 중…

고기, 우유, 야채 그리고 초콜릿 케이크의 과불화합물

2019년 보도이긴 하지만, 미국 식품의약안전청(FDA)가 육류, 가금류, 야채와 초콜릿케익과 같은 일반적인 식료품에 대한 과불화합물(PFAS) 농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된 연구결과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2017년 10월 헬싱키에서 개최된 과학관련 회의에서 미국 FDA연구원이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식료품 매장의 육류, 가금류, 야채 등 식품의 과불화합물(PFAS) 검출이 광범위 하게 확인되었습니다.   육류와 생선류의 경우 조사 물질의 절반에 가까운 샘플에서 우리가…

[규제] 이산화티타늄 흡입독성, 스프레이와 미스트는 피해주세요

자외선차단제를 비롯해 화장품에 많이 사용하는 이산화티타늄을 흡입시 발암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유럽연합은 직경이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이산화티타늄 입자가 1% 이상 함유된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발암성 2등급으로 지정했는데요. 이러한 성분이 혼합된 액체 혼합물에는 “위험! 분진을 흡입하지 말 것 , 스프레이나 미스트를 흡입하지 말 것”이라는 경고 표시를 해야 합니다. 그동안 이산화티타늄은 물리적 자외선 차단성분으로 비교적 안전한 무기차 계열의 자외선차단제로…

3D프린터 직업성암 재해인정과 교사•학생 전수조사 촉구 기자회견

지난 주말 ‘YTN 탐사보고서 기록’ 방송에서는 교육현장에 대규모로 보급된 3D프린터의 유해성 문제가 집중보도 되었다. 방송 내용은 충격적이었다. 3D 프린터를 수업 교재로 쓴 교사 7명이 육종암을 포함한 각종 질병에 걸렸고 그 원인은 소재인 필라멘트에서 발생한 1급 발암물질과 생식독성물질 때문이라는 것이다. 고 서울 과학고 교사는 3D프린터를 활용한 지 5년 만인 2018년 2월 육종암 진단을 받았다. 육종암은 뼈,…

[토론회] 2021 화학안전정책 토론회

[토론회] 2021 화학안전정책 토론회 화학물질 안전관리 민산관의 소통을 말하다 2021 화학안전정책 토론회: 화학물질 안전관리 민·산·관의 소통을 말하다 일시 : 2021.11.24(수) 15:00~17:00 참여방법 : ‘환경부 뉴스룸’ 사회자 : 배은솔 (사)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처장2021년 화학안전정책포럼 경과보고 주제발표 : [1주제] 유해화학물질 지정관리체계 내실화 전략(안): 김상헌 경성대학교 교수[2주제] 범국민 소통플랫폼의 이해당사자 참여체계(안): 김신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부소장 지정토론 산 업 계 : 곽진화(중소기업중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