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유자강연] 1강 생활화학제품 유해성 바로 알기, 안전할 지도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운 강연 ‘유자강연’이 드디어 시작되었습니다! 월 1회 목요일 오전 10시에 짧고 굵게 지금 이곳의 환경건강 이슈를 다룹니다. 오늘은 그 첫 강의로 환경정의의 황숙영 국장님께서 유해물질 문해력을 길러주는 명 강연을 펼쳐주셨어요. 우리는 어떤 기준으로 생활화학제품을 고르고 있나요? 각종 성분 프리, 무첨가, 안심, 안전, 친환경, 유기농 등의 문구를 보고 생활화학제품을 고르는데요. 하지만 이런 광고 문구를 보고…

[생활화학제품] 제품안전연구소를 소개합니다!

생활화학제품 아이고 무서워❗ 하며 가습게 살균제 비극 이후 천연이나 자연성분이 든 순한 제품을 찾으시나요? 🔍🔍 하지만 광고만 보고는 정작 어떤 제품이 안전하고 믿을 만한 제품인지❗, 어려운 화학성분 명 앞에서 어떤 제품이 정녕 친환경인지❗ 알쏭달쏭하지 않나요?🔍🔍 사실 화학성분 명은 발음하기에도 어렵고 어떤 유해성이 있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생활화학제품 없이 생활하기란 거의 불가능하죠. 그래서 ‘제품안전연구소’가 탄생했답니다. 💨💨💨…

[파이낸셜뉴스] 세제, 미술용품 등 일상 제품서도 年 5000t 화학물질 나온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세제, 미술용품, 접착제 제품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 나오며, 건강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아래 기사의 연구진은 5가지 화확물질을 규제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사 전체 보기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305021602520560 환경문제연구기관 침묵의 봄 연구소(Silent Spring Institute)와 캘리포니아대학교(UC) 버클리캠퍼스의 연구진은 2일(한국시간) 이같은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환경 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 발표했다. 연구진이 지적한 화학물질은 에틸렌 옥사이드, 스티렌, 1,3-디클로로프로펜,…

[전성분] 생활화학제품 성분 찾아보시나요?

???? 세탁세제, 광택제, 섬유유연제, 방향제, 디퓨저, 살균제, 욕실세정제 등을 ‘생활화학제품’이라고 합니다.  먹거리, 화장품에는 라벨에 전성분이 표시돼 있어 알레르기가 생기거나 성분이 궁금할 때 언제든 찾아보실 수 있는데요. 생활화학제품은 전성분 표시를 하지 않아서 문제가 생겨도 성분을 확인할 수가 없답니다.  ????????  그래서 환경부, 생활화학제품 기업, 시민단체가 모여 투명하게 전성분을 공개하고 평가해 그 중 유해한 성분을 줄이는 ‘생활화학제품 자발적…

[연구] 데오도란트 및 바디 스프레이 제품에서 1급 발암물질 벤젠 검출

59개의 데오도란트 및 바디 스프레이 제품에서 1급 발암물질 벤젠이 검출되었습니다. 벤젠은 세계보건기구, 국제암연구소 등에서 백혈병과 암을 일으키는 고위험성 발암물질로 지정된 성분입니다. 그런데 우리 코로 흡입되는 일부 바디 스프레이 제품에서 미 식약처의 제한 농도인 2ppm의 최대 9배에 이르는 벤젠이 검출되었습니다. ㅠㅜ  이번 조사를 진행한 Valisure는 각 기업에 해당 제품의 리콜과 미 식약청에 의약품과 화장품의 벤젠 오염에…

[화학안전주간] 9/14~15 화학안전을 모조리 한자리에!

생활화학제품 관리,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녹색화학, 화학물질 교육과 소통, 동물대체실험법 등 화학안전에 대한 모든 것을 9/14~15 이틀 간 총망라합니다. 기업과 시민단체, 정부, 시민이 모인 화학안전 행사와 심도있는 논의의 자리가 온라인으로 열리니 그날은 채널 고정입니다요:) 1일차 9/14 화 프로그램 시간 세션 1 세션 2 세션 3 14:00~15:05 개막행사 – – 16:00~18:00 화학안전정책포럼 생활화학제품 자발적협약 성과공유 중대시민재해예방을 위한 화학물질…

[강의] 2021 겨울학교-생활화학물질, 기후변화, 작업장과 학교

[강의] 2021 겨울학교-생활화학물질, 기후변화, 작업장과 학교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의 ‘겨울학교’는 지난 2016년부터 매년 시민, 노동자, 생협, 소비자단체와 환경운동가 등을 대상으로 진행해온 유해화학물질 교육프로그램입니다. 시민사회의 활동역량이 성장하며 활동가들 스스로가 서로를 가르치고 배우고 논의하는 장입니다. 2021년 올해에는 화학물질 3법 이후의 유해화학물질 운동의 방향과 과제를 고민하며 생활화학물질, 기후변화, 작업장과 학교를 주제로 겨울학교를 진행합니다. 일시: 2월 18(목)부터 3월 11일(목)까지 4주간 10:30~…

[2020 겨울학교2] 생활화학제품 자발적 협약 의미 및 나아갈 방향

원래 2020년, 2월에 예정되어 있던 유해물질 활동가 네트워크 및 공부 시간인 ‘겨울학교’가 초여름에 열리게 되었습니다. 지난 2월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강의를 열지 못한 점 죄송팝니다. 오픈하지 않고 비공개로 운영위 참여 단체 소속 활동가들만 하루에 4강을 듣는 형태로 축소하였습니다. 2020 겨울학교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살생물제 관리 제도의 사회적 배경과 국내 살생물제 관리 방향 : 김신범 운영장 (발암행동)…

[성명서] 정부합동,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대책에 대한 논평

정부합동,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대책에 대한 논평   지난 11월 29일 가습기살균제 참사에 대한 정부대책이 발표되었다. 그간 부분적인 개선대책을 발표했던 것에 비해 생활화학제품 관리의 전체적인 개선대책을 구상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하지만 이번 대책에서도 아직 기업의 책임을 강화하고 국민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정부 관리 주체의 변화는 보이지 않고 있다.  우선,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에서 지난 7월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국민선언’에서 밝힌 요구들이 대책에 포함되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우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