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간 손상에 피부암까지 유발하는 놀이터 [발암물질 위의 아이들②]

최근 많은 놀이터의 바닥이 탄성포장재로 시공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탄성포장재 놀이터를 시공한 경기도 초등학교·유치원은 총 756곳에 달한다. 이 중 초등학교는 148곳, 유치원은 608곳이다. 정부는 충격 흡수가 안 돼 뇌진탕 등 낙상사고 위험이 있는 데다 위생 문제도 불거진 모래 놀이터 대신 탄성 있는 포장재로 변경, 아이들이 안전한 곳에서 마음껏 뛰어놀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었지만…

[단독] 발암물질 ‘범벅’… 학교 놀이터가 위험하다 [발암물질 위의 아이들①]

어린이들의 건강과 밀접한 학교, 놀이터에 깔린 푹신푹신한 탄성바닥재에서 발암물질이 대거 검출되었습니다. 탄성포장재로 된 바닥재가 넘어져도 다치지 않고 달리기를 할 때도 쿠션감이 있어 충격이 덜해서 좋아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실은 이렇게 많은 유해물질이 들어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비 바람에 마모되면 엄청난 양의 미세플라스틱으로 쪼개지겠죠. ㅠㅜㅠ 단독으로 보도된 경기일보 기사를 공유드립니다. 전체 기사 보기 2024.7.1 경기일보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40630580186

[참여] 학교 재활용품 분리배출 현황 조사

???? 서울에 학교가 2천 2백 곳 넘게 있는 걸 알고 아셨나요? 학교마다 배출하는 재활용품의 양도 어마어마할텐대요. 과연 제대로 재/활/용/ 되고 있을까요? 기껏 몰아넣은 재활용품이 쓰레기로 버려지지 않기 위해선 이물질이 섞이지 않게 종류별로 분리하는 것이 핵심이라는데… ???? ‘투명 페트병 전용 수거함’은 설치되어 있을까요? 종이와 종이팩은 분리 되고 있을까요? 학교는 수거 업체를 선정해 직접 분리 배출 과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