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겨울학교 5강] 플라스틱 문제와 대응방안

2019년 겨울학교 다섯 번째 시간의 주제는 “플라스틱 문제와 대응방안”입니다.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홍수열 선생님을 모시고 생활 속 환경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플라스틱 문화의 탄생 일회용 플라스틱 문화가 지금처럼 자연스러운 문화가 아니었음, 맨 처음 일회용 컵이 나왔을 때는 사람들이 다회용처럼 여러 번 사용해서 업계가 당황했음. 일회용품에 익숙해지게 만드는 것! -> 이 자체가 바로 마케팅의 소산. -플라스틱 개념…

[2019 겨울학교 4강] 화학물질 지역대비체계 구축방안 X 녹색연합

2019년 겨울학교 네 번째 시간의 주제는 “화학물질 감시와 지역대비체계 구축방안”, 그리고 환경부정의와 공장부지 관련 녹색연합의 올해 활동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일과건강의 현재순 사무국장님과 녹색연합 배보람 팀장님께서 열강해주셨습니다.:) 강의 공유드립니다. 톨루엔은 종이컵에 따르면 딱 커피 색깔! 공장에서 이 라벨을 안 붙여서 사고가 있기도 했음그동안 일터 화학물질 안전은 발뒷꿈치 각질만한 취급도 못 받아옴. 바로 노동자를 노동자로 부르지 못하고 ‘근로자’로 이야기해야…

[2019 겨울학교] 유해물질의 인체노출평가와 생체지표의 활용 관리자

2019년 겨울학교 세 번째 시간의 주제는 “유해물질의 인체노출평가와 생체지표의 활용”입니다. 김성균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님께서 열강해주셨습니다.:) 강의 공유드립니다.  1. 화학물질 노출과 독성에 대한 오해와 편견  독감이 유행일 때 타미플루 성분이 강물에서 급격히 검출되었음 우리가 먹고 마시고 사용하는 물건들에서 나온 화학물질들: 우리는 늘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있다. 그런데 모두 위험한 것일까? 예전에는 독성은 용량에 따라 달라지고 생각했으나 과학이…

[2019 겨울학교 2강]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정책 X환경운동연합

2019년 겨울학교 두 번째 시간의 주제는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정책과 전성분 공개입니다. 김신범 운영위원장의 강의와 환경운동연합 정미란 팀장의 발제가 열렸습니다. 1.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하면 안전할까?  2018년에는 국내 최초로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 및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이 열렸습니다. 짝짝짝!! 그런데 제품 성분을 공개했는데, 공개된 성분은 검증이 가능하지만 그 밖의 성분은요? 비의도적으로 함유된 물질은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까요? 것도 비의도적 물질이…

[2019 겨울학교 1강]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시민사회 정책 제안

2019년 겨울학교가 드디어 시작되었습니다.  앞으로 3주간 약 80여명의 수강생들이 모여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시민사회 정책을 공부합니다. 그 첫 시간으로 김신범 샘의 강의가 열렸습니다. 1.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은 무엇일까? 국가 정책 감시? 국가 정책 제안? 주로 파수꾼과 감시 역할을 하고 정책을 요구하는 것에 머물러 있었지만, 시민사회 자체의 정책과 추진을 통해 정부가 짜놓은 판이 아니라 시민사회가 주도하는…

[2018 겨울학교 8강] ‘생리대 사태’를 통해 본 여성건강 이슈와 활동방향

2018년 ‘발암행동’ 겨울학교 8강은  < ‘생리대 사태’를 통해 본  여성건강 이슈와 활동방향>에 대해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사무처장님께서 강의하셨습니다. 강의 자료는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세요.  첨부된 파일 중 맨 아래에 있습니다. 그날, 매직, 딸기잼… 월경을 왜 월경이라 말을 못해… 2017년 전까지만 해도 이런 시츄에이션이었죠. 그러다 갑자기 훅, 생리대 안전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여기저기서 월경에 대해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와우!)   우리만…

[2018 겨울학교 7강] 생리대 안전관리체계의 문제점 및 정책적 제언

2018년 ‘발암행동’ 겨울학교 7강은  <생리대 안전관리체계의 문제점 및 정책적 제언>에 대해  이종현 EH R&C 환경보건안전연구소장 님께서 강의하셨습니다. 강의 자료는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세요.  첨부된 파일 중 맨 아래에 있어요. 국내 생리대의 경우 의약외품으로 관리되는 반면, 다른 나라는 의료 기기나 공산품으로 관리합니다. 관리주체는 식약처 > 바이오생약국 > 의약외품 정책과죠. 의약외품 중 생리대는 시장규모가 큰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현 체계에서 피부감작작용…

[2018 겨울학교 6강] 임상의가 본 여성생식건강 실태와 제안

2018년 ‘발암행동’ 겨울학교 6강은  <임상의가 본 여성생식건강 실태와 제안>에 대해  조현희 가톨릭대학교 산부인과학 교실 교수님께서 강의하셨습니다. 강의 자료는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세요.  첨부된 파일 중 맨 아래에 있어요. 여성이 환경호르몬에 더 취약할까요? 여성건강은 남성건강과 다를까요? 여성과 남성은 1) 바디 구성(여성이 남성에 비해 체지방 3% 많고 수분 함량은 낮아), 2) 다음 세대 재생산과 관련된 차이로 인해 다른 건강 양상을 보입니다. …

[2018 겨울학교 5강] 독성 생리대로 본 여성위생용품의 유해물질과 안전

2018년 ‘발암행동’ 겨울학교 5강은  <‘독성 생리대'로 본 여성위생용품의 유해물질과 안전>에 대해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교수님께서 강의하셨습니다. 강의 자료는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세요.  첨부된 파일 중 맨 아래에 있어요. 최경호 샘께서는 생리대 사태를 맞아 자료를 찾아보시며, 여성건강 연구가 얼마나 부족한지 알게 되었다고 하십니다. 여성 생식기의 유해물질 노출에 대해 참고할 만한 연구도 별로 없지만,여성 생식기는 점막…

[2018 겨울학교 3강]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데이터해석과 활용방안

2018년 ‘발암행동’ 겨울학교 3강은  <국가 바이오모니터링 데이터해석과 활용방안>에 대해  최인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분석팀장이 강의하였습니다. 강의 자료는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세요. 바이오모니터링, 바디버든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바이오모니터링이란 사람의 생체시료에 들어있는 물질 혹은 대사산물을 측정하여  우리 몸에 들어있는 화학물질의 양을 가늠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부가 나서 환경보건국민기초조사를 통해 국민의 바이오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모니터링은 왜 필요할까요? 1) 국민 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