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세미와 케피가 함께 하는 2025 ‘유자학교’ 하반기 교사연수

세미와 케피가 함께 하는 2025년 유자학교 하반기 교사 연수가 열렸습니다. 이번에는 집필진이신 배성호 선생님의 가이드로 민주시민들의 특별한 공간인 식민지 역사 박물관에서 열렸습니다! 2학기 시작하기 전 열리는 유자학교 교사 연수는 전국 각지의 유자학교 교육 워크숍이 각 학교에서 성공적으로 진행되도록 안내하며 심화 환경교육을 진행하는 동시에, 직접 선생님들의 현장 교육 경험을 나누는 자리입니다. 이번 연수에도 경기도부터 전주까지 각…

[서명] 나쁜 PVC 랩, 가정용은 없고 마트와 식당에는 있다?!

가정용 랩은 pvc를 사용하지 않지만 마트나 시장, 음식점에서는 대부분 유해하고 재활용도 안 되는 나쁜 플라스틱 pvc를 사용해요. 원래 2024년부터 전면 사용금지한다고 했는데 현재까지도 아무 조치가 없어 서명을 열었어요. PVC 랩은 두 가지 면에서 큰 문제가 있어요. 하나는 1) 유해물질과 환경호르몬 배출의 문제 2) 재활용이 안 되는 폐기물 문제입니다. 해외에서는 PVC 랩을 식품에 사용하지 않도록 금지하고…

[겨울학교] 화학물질 배출량관리제도 발전 방안 공부 모임

‘발암행동’에서는 정기적으로 활동가들과 함께 화학물질과 규제 방향을 공부하는 ‘겨울학교’를 엽니다. 이번에는 화학물질 배출량 관리제도와 발전 방안을 주제로 노동환경건강연구소 김신범 부소장님을 모시고 공부하는 시간을 갖었습니다. 배출량관리제도 발전 방안 마련: 2024년 연구 의미와 주요 결과 소개 I. 제도 도입 30년, 우리는 잘 하고 있을까? 1.국내 배출량조사 및 공개 제도 도입 30년, 1996년 OECD 가입을 계기로 도입한 제도제도는…

[보도자료] 현장의 혼란을 부채질하는 규제개혁위원회를 규탄한다!

현장의 혼란을 부채질하는 규제개혁위원회를 규탄한다!“국민의 생명안전 위협하는 권고결정 존재이유가 없다” 1. 개요 2. 취지 폭염 속 노동자의 휴식권 보장 규정을 ‘과도한 규제’라며 삭제 권고하고, 시민의 생명과 환경을 지키기 위한 화평법 (화학물질의등록및평가등에관한법률)의 시행규칙조차 ‘현장의 혼란’이라는 이유로 가로막은 규제개혁위원회에 대해 노동계와 환경단체가 공동으로 규탄 기자회견을 진행합니다. 국회와 정부가 마련한 법적·사회적 합의마저 무시한 채 기업의 요구만을 대변하는 기구의…

[겨울학교] 화관법 화학사고 신고제도 개선방안 논의

화학안전정책포럼 이해당사자 공부 모임이 열렸습니다! 화학물질 안전을 주제로 활동하는 활동가들 대상으로 화학안전정책포럼에서 쟁점이 되는 사항들을 논의하고 시민들의 입장에서 안전한 화학물질 안전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 열린 공부 시간입니다. 겨울학교 활동가 공부 모임 : 화관법 화학사고 신고제도 개선방안을 주제로 화학물질안전원의 김성범 선생님을 모시고 현재 시행 사항 이야기를 듣고 더 나은 제도를 함께 고민해보았습니다. 현재 화학물질안전원에서는 소방청 검색엔진에…

케미와 세피가 알려주는 화학물질 이야기! 교사연수가 열렸습니다

어린이들의 안전한 화학생활과 건강한 학교를 위해 ‘케미와 세피의 화학물질 탐정단’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화학물질 탐정단은 2025년 전국의 학교에서 약 800여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과 환경 교육을 듣고 자발적인 캠페인을 꾸립니다. 이 과정에서 각 학교의 선생님들께서 ‘케피와 세피의 화학물질 이야기’를 초등 5, 6학년 교과과정과 연결해 다채롭게 교육하실 예정입니다. 이에 전국에서 ‘케미와 세피의 화학물질 탐정단’ 프로젝트에…

[성명서]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과불화화합물 사용 연장을 반대한다

환경보건학회에서 다음과 같은 성명서가 발표되었습니다. 분해가 잘 되지 않고 오래 지속되어 ‘영원한 화학물질’이라는 별칭을 가진 과불화화합물. 사용 후 환경에도, 인체나 생명체 건강에도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오랫동안 잔류합니다. 현재 미국과 유럽연합 등에서는 과불화화합물 규제를 한층 강화하고 있는데요. 한국은 정반대로 과불화화합물 사용 연장을 결정하였습니다. 근시안적 시각으로 환경과 건강에 영원히 영향을 주는 결정을 이렇게 막무가내로 해도…

[보도자료] 금속가공유 가이드라인 협약 체결…”노동자 건강과 환경 위해”

금속노동자의 건강과 환경을 위한금속가공유 가이드라인 협약식 체결 정부기관이 해야 할 유해물질 사용저감 대책금속노조와 금속가공유 업체가 직접 시행 합의! 발암성 및 생식독성물질 등 유해물질 원료 사용하지 않기로,해외 수출품에도 동일한 기준 적용 발암행동과 전국금속노조가 힘을 합쳐, 현장에서 유해물질이 사용되는 금속 가공유를 안전한 성분이 들어간 제품으로 사용하며 모니터링하고, 동일한 기준을 해외 수출품에도 적용합니다! 너무 너무 멋진 변화를 만들어주신 금속노조와 발암행동…

[2025 겨울학교] 박봉균 원장님과의 인연, 그리고 화학안전 정책포럼

이번 발암행동 겨울학교는 화학물질안전원의 박봉균 원장님의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갖었습니다. 원장님과 시민사회가 어떻게 만나 거버넌스를 이루게 되었는지, 그 생생한 역사를 들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거버넌스를 잘 활용해 화학안전을 굳건히 해야겠다! 결심하게 되었달까요. 그 현장의 모습을 전합니다. 박봉균 원장님의 개인사와 화학물질 전문 공무원으로서의 역할! (썰!!)  대학교를 9년 동안 다녔다가 2000년에 환경부에 들어감, 99년에 졸업했으나 IMF가 터져 화학회사에…

[EBS] 어린이의 눈으로 본 ‘안전한 교실’은? / EBS뉴스 2025. 05. 05

오늘은 5월 5일, 어린이날입니다. 모든 아이는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자라날 권리가 있는데요. 아이들의 시선으로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지적하고, 실제로 법을 바꾸는 데 힘을 보탤 수 있다면 어떨까요? 이 특별한 수업 현장에서 인터뷰에 응한 길음초등학교 학생들이 EBS 스튜디오에 나가 인터뷰에 응했습니다. 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