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암물질없는울산만들기] 매곡산단 안심산단

[발암물질 없는 울산만들기]매곡산단 안심산단 만들기 유해물질 실태조사 실시 금속노조는 그동안 산별노조로서 전체 금속노동자들이 발암물질로부터 안전한 현장을 만들어야 할 책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노력했다. 그러나 여전히 대규모 사업장에서만 발암물질을 없애는 것이 추진되고, 노동조합이 없는 중소영세사업장에서는 무엇이 발암물질인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노동자들이 일하는 현실은 크게 바뀌지 않고 있다. 이제, 금속노조는 그동안의 활동성과를 지역으로, 부품사로, 확산하는 것이 과제가 되면서 울산 북구 매곡산단에서 우선 건강한자동차 만들기…

금속가공유 유해물질 가이드라인 협약업체 실사작업

금속가공유 유해물질 가이드라인 협약업체 적용결과 실사작업 시작 2013년 협약 차기개정을 위한 중간점검 – 가이드라인 적용결과 확인 금속노조는 지난 3월 8일(금) 금속가공유 유해물질 가이드라인 적용여부와 관련된 후속간담회 진행 후, 후속작업으로 가공유업체의 가이드라인적용 여부 확인을 위한 실사작업을 시작했다. 금속노조는 현재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과 함께 현재 총 15곳의 가공유업체와 가이드라인 협약식을 제정 하였고 적용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업체 13곳에 대한 실사작업계획을 세우고 1차로 실사작업을 실시했다. 1그룹으로…

건강한 자동차 만들기

발암물질에 취한 현장 ! 9000여 개 제품중 10 %가 1, 2급 발암물질 볼보자동차 금지물질도 10 % 제품에 함유 독성정보가 은폐된 현장 ! 전체 물질 50 %가 기업비밀 포함 발암물질없는 자동차를 위한 ‘건강한 자동차 만들기 운동’ 시작 전국금속노조와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2010년 4월부터 6개월간 63개 금속산업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9000여 종의 화학물질들을 조사했습니다. 조사 결과 9000개 제품 중 약…

[제도 개선] PU 코팅장갑의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 실시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은 지난 2018년 4월 30일 “코팅장갑의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를 요구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DMF가 검출된 제품은 폴리우레탄 코팅장갑으로 작업 중 손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제조, 건설, 운반, 조경, 환경미화 등 다양한 노동현장의 노동자들이 흔히 사용하고 있으며 업무특성상 노동시간 내내 착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시중에서도 원예용, 작업용 폴리우레탄 코팅장갑을 쉽게 구매하실 수 있답니다.  폴리우레탄 코팅장갑에서 간 독성물질인 디메틸포름아미드(DMF) 검출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생활용품안전법 유해물질 안전요건에 DMF 기준 추가해야 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마크인증…

[성명서] 코팅장갑의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를 요구한다

코팅장갑의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를 요구한다! PU코팅장갑에서 간 독성물질인 디메틸포름아미드(DMF) 검출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생활용품안전법 유해물질 안전요건에 DMF 기준 추가해야 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마크인증 제품에 코팅장갑 관련조항 마련해야 노동자 보호구 전반에 대한 안전기준을 전체적으로 검토하는 계기가 되어야 2017년 3월, 보호용으로 착용하는 코팅장갑에서 독성물질인 디메틸포름아미드(DMF)가 검출되었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DMF는 도료, 수지 등 화학제품 및 인조피혁, 보호구, 합성섬유,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만들 때 용제로 사용되는 물질로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사람에게 직접적인…

[언론보도] 세상에 이런 법이 어딨나

직업성 암 노동자 및 가족, 근로복지공단에 산재 인정 촉구  ‘“세상에 이런 법이 어디있습니까. 20년을 일하다 죽었는데 보상이라도 제대로 해줘야죠. 근로복지공단이 이름은 근로자편이라면서 이제와서 이 핑계 저 핑계 대면서 시간 끌기나 하고…” 전말련씨의 남편 故(고) 나규철씨는 조선소에서 20년 동안 도장 일을 했다. 그리고 지난 해 5월 폐암 말기 진단을 받고 투병 중 11월 사망했다. 지난 해…

발암물질을 안전물질로 대체할 수 있다!

어떤 화학물질이 암이나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나 환경 중에 오랫동안 잔류해 생태계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면 가장 좋은 해결방법은 무엇일까. 누구나 쉽게, 그리고 상식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대안은 안전한 물질로 대체하는 것, 또는 생산공정을 대체하는 것을 꼽을 것이다. 물론 이것을 모든 경우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기술적으로 불가능할 수도 있고 막대한 돈이 들어 불합리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발암물질 때문에 사회가 져야 할 부담은 얼마일까요?

직업성 암은 우리 사회에 얼마나 부담을 주고 있을까?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과학자들이 있다. 직업성 암의 규모를 추정하여 사회가 질 부담으로 표현함으로써 관심과 대책을 이끌어내기 위함이다. 영국에서는 이러한 노력이 수년에 걸쳐 진행중이며, 이에 대한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그 결과 전체 암 사망자의 5.3% 전체 암 등록환자의 4.0%가 직업성 암으로 추정되었다. 연구자들은 이 결과는 매우 엄격한 추정치라고 밝혔다.…

발암물질 원인 직업성 암, 환경성 암 예방 원칙

직업성 암, 환경성 암 예방에 진척이 없는 이유 메사추세츠 로웰대학 환경보건학 연구소의 크리벨(Kriebel) 박사는 노동현장과 일반환경에서는 각종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노출될 수 있음에도, 국가적으로 화학물질로 인한 암을 예방하는 데 전혀 진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주요 이유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꼽았다. 1) 암의 1차 예방에 충분한 기금이 투입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국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에서는 전체 예산의 10% 미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