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암신호등> 캠페인 기자회견 이모저모

지난 12일, 종로구 적선동 ‘지금 여기’에서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준비위윈회 발족식이 열렸습니다. 이날 발족식에는 노동환경건강연구소를 비롯해 환경, 노동, 생협, 교사, 학부모 등 다양한 시민사회단체들이 발암물질 없는 사회를 만들고자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지난 2년간 지속된 발암물질 감시네트워크의 활동과 성과를 바탕으로 탄생한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에 새로운 단체들이 대거 참여함에 따라 활동의 폭과 깊이가 더해질…

[보도자료] 발암신호동: 우리 몸 속 유해화학물질을 찾아라

과연, 우리 몸에는 얼마나 많은 발암물질이 들어있을까? 기자회견 순서 ◆ 일시 : 2011년 7월 12일(화) 오전 11시00분  ◆ 장소 : “지금 여기” (후 빌딩 3층, 경복궁역 4번출구, 3층 까페 옆 골목으로 들어오면 됩니다)  ◆ 진행 순서  사회 : 임상혁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  1)기자회견을 열며 (인사말) : 이미경 의원(민주당), 홍희덕 의원(민주노동당), 남미정(여성환경연대 으뜸지기), 박유기(금속노조 위원장), 박석운(진보연대 대표) 등 …

건강한 자동차 만들기

발암물질에 취한 현장 ! 9000여 개 제품중 10 %가 1, 2급 발암물질 볼보자동차 금지물질도 10 % 제품에 함유 독성정보가 은폐된 현장 ! 전체 물질 50 %가 기업비밀 포함 발암물질없는 자동차를 위한 ‘건강한 자동차 만들기 운동’ 시작 전국금속노조와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2010년 4월부터 6개월간 63개 금속산업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9000여 종의 화학물질들을 조사했습니다. 조사 결과 9000개 제품 중 약…

[제도 개선] PU 코팅장갑의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 실시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은 지난 2018년 4월 30일 “코팅장갑의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를 요구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DMF가 검출된 제품은 폴리우레탄 코팅장갑으로 작업 중 손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제조, 건설, 운반, 조경, 환경미화 등 다양한 노동현장의 노동자들이 흔히 사용하고 있으며 업무특성상 노동시간 내내 착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시중에서도 원예용, 작업용 폴리우레탄 코팅장갑을 쉽게 구매하실 수 있답니다.  폴리우레탄 코팅장갑에서 간 독성물질인 디메틸포름아미드(DMF) 검출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생활용품안전법 유해물질 안전요건에 DMF 기준 추가해야 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마크인증…

[성명서] 코팅장갑의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를 요구한다

코팅장갑의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를 요구한다! PU코팅장갑에서 간 독성물질인 디메틸포름아미드(DMF) 검출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생활용품안전법 유해물질 안전요건에 DMF 기준 추가해야 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마크인증 제품에 코팅장갑 관련조항 마련해야 노동자 보호구 전반에 대한 안전기준을 전체적으로 검토하는 계기가 되어야 2017년 3월, 보호용으로 착용하는 코팅장갑에서 독성물질인 디메틸포름아미드(DMF)가 검출되었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DMF는 도료, 수지 등 화학제품 및 인조피혁, 보호구, 합성섬유,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만들 때 용제로 사용되는 물질로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사람에게 직접적인…

[서울시] 환경보건조례 및 안전한 어린이집, 네일숍 정책 제안

2018년 10월 26일 서울시 협치사업 ‘정책박람회’에서는 총 6가지의 서울시 정책이 소개되었습니다.  서울시내 민관협이 서로 힘을 합쳐 네트워크로 똘똘 뭉쳐 정책을 만든 결과가 집대성되었지요. 이 6가지 정책 중 발암행동과 환경정의, 여성환경연대,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등이 모여 만든 환경보건정책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017년 어린이집, 네일숍의 유해물질 조사를 통한 정책 제안, 서울시 환경보건조례 방향과 내용에 대한 정책 제언이 엑기스로 담겨 있습니다.  자료집은…

[자료집] 여름 휴가용품 시민안전가이드 2010

휴가철이 본격으로 시작됐습니다. 여름휴가 때면 꼭 챙기는 물놀이 용품, 모기 퇴치제, 자외천 차단제는 얼마나 안전할까요? 많이 바르거나 사용하면 사람 몸에 해는 없을까요?  발암물질감시네트워크는 2010년 여름 휴가철을 맞아 시민들에게 ‘여름휴가 시민안전가이드’를 제시했습니다. 무심코 바르거나 사용한 이들 용품에 어떤 유해한 물질이 들어있는지, 대신할 것은 없는지 궁금하신 분은 첨부한 파일을 내려받아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