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90%에서 글리포세이트 검출되다

유전자 조작 작물에 뿌려지는 발암물질 ‘글리포세이트'(라운드업 제초제)가 씨리얼에서도 검출되었다는 미국 뉴스를 들어보셨나요? 글리포세이트는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발암물질입니다.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도 글리포세이트가 유전자 손상, 호르몬 교란, 정자 감소, 기형 등을 유발한다고 연구결과를 밝혔습니다. 유전자 조작 작물을 재배하는 미국에서는 정원 운동장 공원 잔디 등에 글리포세이트가 뿌려지는데요. CEH(미국 환경보건센터)라는 단체에서 미국인 11가족을 대상으로 체내 글리포세이트 검출량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90% 이상의…

[이웃집과학자] 프탈레이트, 남성·반려견 생식능력 동시에 저하시켜

“영국 노팅엄대학교 수의학과 연구팀은 가구와 바닥, 카펫, 실내장식, 장난감, 신발 등에서 발견되는 화학물질이 정자의 이동성을 감소시키고 정자 DNA의 단편화를 진행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습니다.” “PCB153, DEHP: 남성·반려견 생식능력 동시에 저하시켜” http://www.astronomer.rocks/news/articleView.html?idxno=87479&fbclid=IwAR3c4z-_wZEla9QFWahqiofdbMSAuiRnEa1bekQCgiKCBEHKyGkEsyRTYJk

미국여성 혈중 PFAS 농도 측정 및 생활습관과의 연관성

침묵의 봄 연구소의 미국여성 혈중 PFAS 농도 측정 및 생활습관과의 연관성 PFAS는 패스트푸드 포장용지, 특수코딩 냄비, 방수 의류, 얼룩 방지 카펫, 산업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화학물질입니다. 들러붙지 않은 코팅팬이나 고어텍스 등 물과 기름으로부터 물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왔어요. 특히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어온 PFOA와 PFOS는 동물 실험에서 생식과 발달, 간과 신장 또한 면역체계 등에 영향을 미치고 갑상선…

생리대 및 기저귀 제품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프탈레이트 검출조사

생리대 및 기저귀 제품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프탈레이트 검출조사 일회용 생리대와 기저귀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과 프탈레이트를 조사한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한국, 일본, 핀란드, 프랑스, 그리스, 미국에서 구입한 제품들입니다. 검출대상 VOCs는 methylene chloride, toluene, xylene, 그리고 프탈레이트는 DBP, DEHP, DEP, BBP 라고 하네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경우 일반 공기 수준에서 검출되는 것과 별 차이가 없었으나, 프탈레이트의 경우 다른 플라스틱…

ECHA 1차 미세플라스틱 영향 평가 중

[ECHA] 1차 미세플라스틱 영향 평가 중, 향후 유럽연합 규제 정책 방향 제시  원문 보기 https://echa.europa.eu/-/intentionally-added-microplastics-likely-to-accumulate-in-terrestrial-and-freshwater-environments ECHA에 따르면 화장품, 세제 등 가정용품과 페인트 등에 의도적으로 들어간 미세플라스틱의 경우 수중 생태계에 바로 유입되는 것보다는 슬러지에 농축된 후 비료로 뿌려져 땅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합니다. 현재 ECHA는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0년 봄까지 평가를 완료해 유럽연합에…

농약 잔류성분, 과연 안전할까요?

Chemicals on our food: When “safe” may not really be safe 음식 속 농약 잔류성분, 과연 안전할까요?  FDA에 따르면, 조사대상 중 75퍼센트의 과일과 50퍼센트 이상의 채소에서 농약 잔류성분이 검출되었다고 합니다.  심지어 위해성이 커서 금지된 엔도술판(endosulfan)등의 성분도 식품에서 검출되었죠. 그러나 EPA는 건강에 영향을 주는 수준은 검출되지 않았다면 규제를 강화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90퍼센트 이상 미국인의 소변과 혈액에서 농약…

[헬스조선] 김서림 방지제 유해물질 검출, 기준 최대 39배 초과

김서림 방지제 유해물질 검출, 기준 최대 39배 초과 “한국소비자원은 시중 유통·판매 중인 김서림 방지제 21개 제품(자동차용·물안경용·안경용)을 조사했더니, 절반인 10개 제품에서 기준을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초과 검출됐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일부 제품에서는 스프레이형 제품에 사용이 금지된 가습기 살균제 성분인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론(CMIT), 메틸이소티아졸론(MIT)가 확인됐다. 이 두 성분은 피부에 노출되면 자극, 발진,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아세트알데히드 수치는 안전기준(5mg/kg 이하)을 최소 1.8배에서…

화장품 크림에서 수은 검출, 체내 수은 검출은 증가 추세

1. 화장품 미백크림에서 수은 검출  2018년 11월, 필리핀의 ECOWASTE 라는 단체에서 마닐라에서 판매되는 15개의 미백크림 속 수은농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수은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수은이 뭐냐면요. 미나마따 병을 일으킨 바로 그 중금속입니다. 세계보건기구 미백크림(수은) 건강문제 관련자료  2. 여성의 체내 수은 검출량 증가 추세 (IPEN 보고서)  IPEN에서 나온 따끈한 보고서에 따르면 가임기 여성의…

[살균제] 건강까지 해친다 (Disinfectant Overkill) 캠페인

지구를 위한 여성의 목소리(WVEs) 캠페인  살균제품, 건강까지 해친다 (Disinfectant Overkill) 캠페인 – 쿼트 성분(Quat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은 항균 물티슈, 스프레이, 가졍용 세제에서 흔희 발견되는 항균 성분 – 가정용 항균제로서 예방적 효과가 입증되지 않음. 살균제나 항균제 없이 물과 비누로만 잘 씻어도 위생상 문제 없음.  – 건강 영향: 천식, 폐 기능 악영향, 피부 발진 – 쿼트는 씻어낸 후에도 오랫동안 표면에 남아 있음 – 쿼트 성분: Benzalkonium chloride, Benzethonium chloride, Alky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