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아이에게 발암물질 쥐여줬네…어린이용 캐리어, 충격 결과

 시중에 유통되는 어린이용 캐리어에서 기준치 70배를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서울YWCA는 25일 시중에서 판매되는 어린이용 캐리어 13개 제품에 대해 주요 품질 및 성능을 시험·평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YWCA가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에 따라 6가지 유해화학물질 안전성을 시험한 결과, 5개 제품(키즈비전, 비박, 레이빌라, 규티앤펄스 2개 제품)에서 유해화학물질 총 함량이 안전 기준치의 최소 1.3배에서 최대 70배까지…

시민과 함께 한 바이오모니터링 프로젝트

서울, 남원, 여수에서 시민들의 몸에 쌓인 유해물질을 측정해보고 생활습관과 제도를 바꾸기 위해 활동하는 바이오 모니터링 프로젝트! 2023-2024년의 결과를 모아 발표하는 자리인 시민 바이오 모니터링 포럼이 열렸습니다! 바이오 모니터링에 참여한 시민들과 관련 기관, 연구자들이 모여 유해물질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과 사회적 고민을 풀어놓고 환경실천을 다지는 뜻 깊은 자리였습니다. 먼저 줄리안 님의 환경강의가 열렸어요. 줄리안께서 말씀하신 “접촉하고…

[해외 규제] 미국 캘리포니아주, 비닐 아세테이트를 Proposition 65 목록에 추가

미국에서 환경규제가 가장 앞서 나가는 캘리포니아 주에서 비닐 아세테이트를 유해물질 목록에 올렸다고 합니다. 국제환경규제기업지원센터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 환경보건위험평가국(OEHHA)은 2025년 1월 3일부로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를 발암물질로 지정하고 이를 ‘Proposition 65’ 목록에 추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캘리포니아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비닐 아세테이트에 대한 중대한 노출(significant exposure)에 대해 알려야 하며, 2026년 1월 3일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출처 | https://oehha.ca.gov/proposition-65/crnr/vinyl-acetate-added-proposition-65-list-cancer 비닐 아세테이트란? 위의 이미지는 대한화장품성분사전에서 ‘비닐 아세테이트’를 검색한 결과입니다.…

[글로벌 이코노미] EU, 소비재 ‘영구 화학물질’ PFAS 사용 제한 추진

유럽연합에서 ‘영원한 화학물질’으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 PFAS을 화장품, 조리기구 등 소비자 제품에 사용 제하는 법안을 2025년에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제시카 로스월 EU 환경담당 위원은 20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소비자 제품에 대한 PFAS 금지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며, 이는 인체와 환경, 산업계 모두에 중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북유럽 국가 화학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PFAS는 플라스틱 제조와 전자제품 생산 등 산업 분야에서 가장…

[굿뉴스] 유럽연합, 식품접촉재료에 비스페놀A 사용 금지 결정

 2024년 12월 19일, 유럽위원회는 잠재적으로 유해한 건강 영향으로 인해 비스페놀 A(BPA)* 사용 금지를 채택했습니다. 이는 비스페놀A가 금속 캔, 재사용 가능한 플라스틱 음료수 병, 디스펜서, 기타 주방용품의 코팅과 같이 음식이나 음료와 접촉하는 제품에는 사용 금지된다는 의미이며, 2026년에 발효될 예정입니다. 이미 비스페놀A는 유럽연합은 물론 국내에서도 유아용 젖병 등에 사용 금지 중이지만, 통조림까지 금지 범위가 확대될 예정입니다.

[농민신문] “싸서 자주 이용했는데”…알리·테무 등 해외직구 생활제품서 발암물질 검출

“싸서 자주 이용했는데”…알리·테무 등 해외직구 생활제품서 발암물질 검출 해외 직구 ‘알리’에서 구입한 생활용품에서 1급 발암물질 석면, 중금속 납과 카드뮴이 우수수 검출되었다고 합니다. 싸고 빠른 직구 제품, 유해물질 관리마저도 싸고 빠르게 패스해버렸네요. 환경부는 지난해 9월19일부터 12월까지 알리·테무·쉬인 등 해외 온라인쇼핑몰의 590개 제품을 구매해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이들 제품 중 86개 제품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뉴시스] “검은색 플라스틱이 암 유발…초밥 용기·후라이팬 등 조심해야” 

뉴시스 기사에 초밥 용기나 편의점, 마트에서 즉석식품 용기로 흔히 사용되는 검정 플라스틱 용기에서 발암물질인 난연제가 검출되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의 환경 및 건강 연구단체인 ‘독성물질 없는 미래(Toxic-Free Future)’와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VU)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연구자들이 실험한 검은색 가정용품 20개 중 17개 제품에서 난연제가 검출됐다.검은색 플라스틱에는 암 유발 및 호르몬 교란 물질인 난연제가 들어 있다. 난연제는 연소 저항력을 높이고…

[글로벌 뉴스] 어린이 장난감에서 중금속, 유해물질 검출!

환경 및 사회 개발 기구(ESDO)와 필리핀 BAN Toxics의 연구팀은 방글라데시 다카에 있는 ESDO 본사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연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XRF 분석에 따르면 검사한 160개 제품 모두에서 수은, 납, 브롬, 카드뮴, 비소 및 중금속과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POPs)과 같은 유해화학물질이 한 개 이상 검출되었습니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ESDO의 전 사무국장 겸 의장인 사이드…

[경기일보] 간 손상에 피부암까지 유발하는 놀이터 [발암물질 위의 아이들②]

최근 많은 놀이터의 바닥이 탄성포장재로 시공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탄성포장재 놀이터를 시공한 경기도 초등학교·유치원은 총 756곳에 달한다. 이 중 초등학교는 148곳, 유치원은 608곳이다. 정부는 충격 흡수가 안 돼 뇌진탕 등 낙상사고 위험이 있는 데다 위생 문제도 불거진 모래 놀이터 대신 탄성 있는 포장재로 변경, 아이들이 안전한 곳에서 마음껏 뛰어놀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