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대] 미국 내 제품, 제조업체들 ‘향기’ 탐폰 생산하지 않는다

생리대 구입시 생리혈 냄새를 없애주고 ‘산뜻하고 향기로운’ 향이 난다는 제품들이 많은데요. 미국에서는 유해성 우려가 있는 향기를 질 내에 삽입하는 탐폰 제품에서 사용하지 않는 추세라고 합니다. 미국(WVE)의 ‘지구를 위한 여성의 목소리’에 따르면 월경용품 제조업체는 세계 최고의 탐폰 제조업체인 Procter & Gamble을 포함하여 미국 시장에서 향이 포함된 탐폰 제조를 대부분 중단했습니다. WVE의 분석에 따르면 이전에 Tampax(가장 잘 알려진…

[생리대] 지구를 위한 여성의 목소리 What’s In Your Period Product? 보고서

지난 2022년 5월 미국의 비영리 단체 ‘지구를 위한 여성의 목소리 (WVE)’와 클린헬시뉴욕(Clean Healthy New York), 시에라클럽 등이 공동으로 월경용품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뉴욕시는 2021년 10월 미국에서 최초로 월경용품 전성분표시제를 시행하고 있는데요. 전성분표시제의 시행에 맞춰 실제 어떤 성분이 들어있고 보완할 정책이 무엇인지 보고서에서 짚고 있습니다. 보고서 내용을 요약해 공유드립니다. 월경제품은 민감하고 흡수성 좋은 신체 부위에 사용되므로…

[유해물질] WVE에 실린 PFAS가 든 생활용품, 녹색인증 기준 강화와 규제 변화로!

 잔류성 유해화합물이자 환경호르몬인 과불화합물을 조사한 결과 어린이 제품에서도 광범위하게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이언트스프링’의 연구원은 녹색인증 기준을 강화해 PFAS로부터 어린이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고 합니다. 검출시험 결과를 통해 녹색인증 기관에 PFAS 기준을 강화할 것을 요구하고 이러한 방향으로 개선 중이라고 합니다. ‘지구를 위한 여성의 목소리WVE’에 실린 글을 공유드립니다. ‘사일런트스프링재단 Silent Spring Institute’에 따르면 녹색인증을 받은 제품을 포함하여…

[2022 유해물질 시민워크숍] 3 강 공유정옥 샘, 여성 그리고 유해물질 운동

오늘은 3번째 강의로 공유정옥 샘을 모시고 여성이 말하는 유해물질 운동의 이야기와 그 의미를 짚어보았습니다. 좋은 강의 해주신 공유정옥 선생님게 정말 감사드립니다. 여성이 말하는 유해물질 운동이란 오늘의 열쇳말로 존재의 인정, 피해의 증언, 변화의 촉진자, 연대자를 중심으로, 유해물질로 인한 4가지 이야기를 풀어주셨습니다. 스토리 텔링으로 만나는 미나마타 병 이야기는 사회 책에서 보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이야기였습니다. 1. 고무공장,…

[해외 뉴스] 향수 성분 공개하는 새 캘리포니아 법

화학업계의 연금술이라고 불리는 향료???? 하지만 향료 성분 중에는 환경호르몬, 생식독성, 발암성,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 사악한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하지만 수십 가지의 성분이 들어있어도 라벨에는 ‘향료’로만 적혀 있으니 뭐가 나쁘고 뭐가 위험한지 도통 알 수가 없죠. 미국에서는 지구를 위한 여성의 목소리 등 여러 환경단체에서 시민 알권리 운동을 가열차게 진행한 덕에, 드디어 캘리포니아에서 향료의 성분을 공개하게…

[2021 젠더 유해물질 모임] 2022 여성 환경건강 의제 제안

여성들은 건강상태, 직업, 개인위생용품과 생활화학제품 노출 여부 등에 따라 유해물질에 각각 다른 영향을 받는다. 특히 유해물질은 태아, 유아기, 청소년기, 임신, 수유, 갱년기 등 민감한 시기에 더욱 큰 영향을 준다. 여성들은 생애주기 전반에서 수많은 화학물질에 노출되는데, 이러한 물질은 태반을 가로지르거나 모유를 통해 아이에게 전해진다. 최근 연구는 임산부가 일상용품을 통해 1970년대에 이미 금지된 PCB와 같은 유기염소계 살충제,…

[2021 젠더 유해물질 모임] 여성, 화학물질 및 지속가능발전 보고서

Women, Chemicals and the SDGs 여성, 화학물질 및 SDGs -새로운 정책 과제 및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보고서를 번역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보고서의 맥락과 목적 2. 화학 및 폐기물 분야의 남녀 불평등의 차원 – 정의 – 성 불평등 확인 : 성별 분리 정보의 필요성 – 성 평등을 촉진하기위한 도구로서의 성 주류화 – 유해…

[2021 젠더 유해물질 모임] WECF 보고서 <유해화학물질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여성과 화학물질 : 유해화학물질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Women and Chemicals: The impact of hazardous chemicals on women 왜 여성과 화학물질에 초점을 맞추는가? 여성들은 어디에서 화학 물질에 노출되는가? 여성들이 노출된 주요한 독성 물질은? 이니셔티브 #화학물질 #여성건강 주최 |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콘텐츠 생산 | 2021 젠더 유해물질 모임 참가자들 편집 및 정리 | 고이지선(젠더 유해물질 모임 참가자), 고금숙,…

[2021 젠더 유해물질 모임] 2017 국제 유해물질 반대 네트워크 ‘IPEN’ 젠더 이니셔티브 보고서

국제 유해물질 반대 네트워크 ‘IPEN’ 젠더 이니셔티브 보고서를 읽고 국문 번역본을 공유합니다. #젠더 #여성리더십 #유해물질 #국제 규약 #엔지오 비영리단체 주최 |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콘텐츠 생산 | 2021 젠더 유해물질 모임 참가자들 편집 및 정리 | 고이지선(젠더 유해물질 모임 참가자), 고금숙, 배보람, 박수미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지원 | 세상을 바꾸는 작은변화, 아름다운재단

[2021 젠더 유해물질 모임] 유해물질 X 페미니즘 공부모임 보고서 모음

노동자와 어린이 등 유해물질에 취약한 집단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캠페인이 그동안 운영되어 왔지만, 여성의 몸을 중심으로 한 젠더적 관점은 간과되어 왔다. 유해화학물질 노출은 성별, 직업, 거주지역과 같은 사회경제적 조건에 따라 다르며, 노출에 따른 피해도 단일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여성들은 생활공간과 일상에서 청결, 외모가꿈, 서비스 노동 종사 등을 이유로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며 동일 규모의 화학물질 노출에도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