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젤협약 개정안]년부터 복합 폐플라스틱 남의 나라로 떠넘기기 못 한다

서울환경연합이 운영하는 위클리어스 뉴스레터에서 가져온 소식입니다. 바젤협약 2021년 개정안을 한 큐에 잘 정리해놓았습니다. 그럼 아래서 개정된 바젤협약 뉴스를 알아보세요. 미국은 바젤협약 가입국이 아니란 사실(그래서 비준한 캐나다는 자기네 복합 폐플라스틱을 미국에 보내서 다시 미국을 통해 다른 나라로 수출하려고 협약을 맺으려 한다는 것), 그리고 OECD 국가들 내에서는 이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환경부가 2020년…

[유독물질] 고향 찾은 은연어 떼죽음…‘킬러’는 타이어

자동차 타이어의 마모를 막는 화학물질이 강물로, 바다로 흘러가 은연어떼 떼죽음을 일으켰다는 사실이 20년 만에 밝혀졌습니다. 과연 연어만 죽었을까요. ㅠㅜ https://m.khan.co.kr/view.html?art_id=202012132110025#c2b 미국 워싱턴대 연구진 논문타이어 손상 막는 첨가 물질하천 유입, 혈관 문제 일으켜

[유해물질] 국민 아기욕조’의 배신…”환경호르몬 기준치 612배”

[임유진]“보통 아기를 씻기려면 욕조 2개는 필수거든요. 이제 하나는 헹굼용으로 써야 하고… 거의 국민 욕조. 그래서 다이소에서 이 욕조가 잘 없어요. 빨리 품절이 돼서.” 바닥에 배수구가 있어 목욕을 마친 뒤, 물을 빼내기 편리한 것도 장점인데, 이 배수구의 플라스틱 마개가 문제였습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성분이 기준치의 6백 12배 검출된 겁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들 때 쓰이는 화학첨가제로,…

[중앙일보] 피자박스 등에 함유 PFAS 금지 움직임

음식 포장용기에 사용되는 유해 화학물질인 PFAS 금지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다. 뉴욕주의 앤드루 쿠오모 주지사는 3일 PFAS 함유 용기 사용 금지 법안에 서명했다. 가주는 PFAS가 함유된 음식 포장용기를 ‘우선 주의 제품(priority product)’으로 규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뉴욕주 법안은 패스트푸드점과 일반 식품업소 등에서 음식을 담거나 포장할 때 PFAS 함유 용기 사용을 금지한다. 1회 위반 시에는 벌금 1만…

[에너지신문] 환경부, 유해물질 사용제한 제품 49개로 확대한다

환경부가 최근 사용·유통량과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는 제습기, 전기안마기 등 23개 품목을 추가go 유해물질 사용제한 관리대상을 현재 26개 품목에서 49개 품목으로 확대합니다. 또한 사용제한 유해물질은 납·수은 등 6개 물질에서 프탈레이트계 유해 물질 4종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유해물질 사용제한 대상 전기·전자제품은 최근 사용·유통량과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는 제습기, 전기안마기 등 23개 품목을 추가하여 현재 26개 품목에서 49개…

[납 페인트] 서울시 ‘국제기준 준수 납 저감 페인트 사용 다자간 협약’ 기사

2020년 9월 25일 서울시는 ‘국제기준 준수 납 저감 페인트 사용 다자간 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납 함량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수준 이하로 낮고 안전성이 뛰어난 제품을 시가 관리하는 시설과 공공장소에 사용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협약에는 5개 페인트 제조기업과 한국페인트잉크공업협동조합, 서울시설공단, SH공사, 녹색서울시민위원회 등이 참여한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 협약을 통해 서울시설공단이 관리하는 공공시설물과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분양·임대·관리하는 공공주택 등의 내·외관에…

생활환경 상담소 <질문하는 나무????> 에 물어보세요!

생활환경 상담소 <질문하는 나무????> ✔️ ‘질문하는 나무’는 불안한 화학제품부터 매캐한 미세먼지까지 일상 속 환경문제에 대해 궁금한 점을 질문하면 전문가에게 답변받을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질문하는 나무는 전문가 그룹을 연계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축적된 질문과 답변을 사회의제로 키워내려 합니다. 막연한 불안을 합리적 의심과 질문으로 바꾸어낼 수 있다면 사회는 더욱 안전해질 거예요!✔️ 평소 궁금했던 것이…

[뉴스] 3D프린터가 암의 원인?

정부가 3D(3차원) 프린터를 초중고등학교에 보급하면서 전문기관으로부터 ‘발암물질’에 대한 경고 내용이 들어간 안전 가이드북 보고서를 받아놓고도, 2년이 넘도록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는 보도입니다. 유해물질저감방안도 담았는데, 자료가 학교에 보급되지 않았으니 학생과 교사들이 그대로 유해물질에 노출 되었을 겁니다. 이게 대체 뭔가요. 관련뉴스 https://n.news.naver.com/article/047/0002279790?fbclid=IwAR0m5nIiD8e78DgT79JYvhzTnLuUCTGx4L-rz0506v8pXYTUUrsea5JmOtg 3D프린트를 사용한 교사들이 잇달아 희귀암인 육종암에 걸리는 비극이 일어났습니다. 3D프린트와 희귀암 발병 사이의 인과관계가 확인 되지…

[뉴스] 독성물질 검출 PU 코팅장갑, 퇴출 안 되는 이유

독성물질이 들어있는 PU코팅장갑, 규제가 없고 가격이 싸니 다시 돌아옵니다. 특히 장시간 장갑을 착용하고 땀 흘리며 일하는 노동 현장에서 규제가 필요해 보입니다. http://www.bizhankook.com/bk/article/20340 DMF가 검출돼 논란이 됐던 PU 코팅장갑은 사실상 ‘무방비 상태’에 놓여 있다. PU 코팅장갑은 금속산업, 건설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지만 기업 혹은 사업장이 장갑의 유해성을 따져볼 의무가 없고, 주무 부처인 고용노동부에서도 이를 규제하지 않는다. 고용노동부…

[전자신문] 프탈레이트계 4종 유해물질 금지 소형 가전제품 적용!

전자신문에 따르면 환경부는 내년 1월 1일부터 프탈레이트계 유해물질 4종을 전자제품 제작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제한다. 프탈레이트는 동물이나 사람의 생체 호르몬 작용을 방해하는 내분비 교란 물질이다. 사용이 금지되는 물질은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부틸벤질프탈레이트(BB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DIBP) 등 프탈레이트계 물질 4가지다. 프탈레이트는 현재 가전 전원 코드부터 냉장고 소음 방지 고무, 충전용 케이블 등에 사용된다. TV, 냉장고, 세탁기 같은 대형 가전부터 헤어드라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