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건강한 학교] 스포츠용품 유해물질 기준 수립

‘발암행동’은 2018년 서울시 녹색위 사업으로 ‘건강한 학교 만들기’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올해 ‘건강한 학교’의 주제는 유해물질 기준조차 만들어져 있지 않은 스포츠용품 이었습니다. 바로 학습교구(체육)의 유해물질을 점검하고 안전한 제품 목록을 제시하는 것, 이를 통해 학습교구 기준을 수립하는 것이었습니다.  1. 교육 먼저 공감해 형성을 위해 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유해한 플라스틱 강의를 진행했어요.  – 위험한 플라스틱_PVC 이야기 – 학생: 초등…

[자료집] 시민과 함께 만드는 환경보건 정책 토론회

시민과 함께 만드는 환경보건 정책 토론회가 2018년 10월 23일에 열렸습니다! ○ 취지 및 배경  – 서울시와 시민사회는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만들기’ 협치 사업을 통해 학교와 어린이집, 네일숍, 공공화장실 등 유해물질 사용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시민의 안전을 위해 대안을 마련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음 – 관련 협치의 성과로 서울시 환경보건조례가 제정되고, 시민 안전을 위한 첫걸음이 시작됨. 또한 시민과 밀접한 공간에서의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정책적 대안들이 제시됨…

[보도자료] 스포츠용품 환경호르몬 실태조사 결과와 제도개선 요구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스포츠용품 환경호르몬 실태조사 결과와 제도개선 요구 스포츠용품 유해물질 관리규정 전무 – 농구공구르기매트아령 등에 납, 프탈레이트 무분별한 사용– 환경호르몬 건강영향 특성에 맞춘 규제제도 마련 시급- 초중등 교육과정 체육교구 유해물질 안전기준 마련되어야  ▣ 주최 : (사)일과건강 /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후원 : 서울특별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 (사)일과건강은 서울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 후원을 받아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농구공, 배구공, 아령, 구르기매트 등 스포츠용품 32개를 구매하여 프탈레이트와 납, 카드뮴 등을 조사하였다. 스포츠용품에 대한 유해물질 관리 규정이 전무하여 안전기준은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어린이 안전을 위해 ‘안심제품’으로 화답한 기업과 제품명

어린이 안전을 위해 ‘안심제품’으로 화답한 기업과 제품명 지난 2월, 발암물질국민행동에서 ‘유해물질로부터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 캠페인의 일환으로 어린이용품 제조·판매 업체에게 ‘어린이에게 안전한 제품을 만들어 주세요’ 편지를 보냈다. 편지를 받은 일부 업체에서 어린이 안전을 위해 프탈레이트-free, 중금속-free 제품을 생산할 것을 약속하고, 안심제품의 판매를 시작하거나 준비 중이다. 우리는 기업과 함께 안전제품 생산을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며 지속적인 감시를 통해 소비자 건강권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칠 것이다. [프탈레이트-free/중금속(납·카드뮴)-free 안심제품] ▶ 판매 중▣ 에스와이스포츠 – 김수열어린이줄넘기(롱키형)▣ (주)지구화학 – 지구 뽀로로…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 ‘환경강사단 양성과정’ 진행

지난 6월 2일 (금), 9일 (금) 두차례에 걸쳐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환경강사단 양성과정’이 열렸습니다. 40여 명의 시민들이 참여하여 환경호르몬과 유해물질에 대해 함께 공부하고, 좀 더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열띤 토론을 벌였습니다. 환경강사단 양성과정은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과 일과건강이 함께 주최하고, 서울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가 후원했습니다. <프로그램> 2일 (금)   플라스틱과 환경호르몬 / 김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측정팀장   바디버든과 독성유전 / 고혜미 방송작가 · 이대 에코크리에이티브 협동과정 9일…

[카드뉴스] 초등학생 학습교구 환경호르몬 실태

지난 9월 22일 (목) 오후 1시 40분 국회 정론관에서 ‘초등학생 학습교구 환경호르몬 실태 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했습니다.  초등학교 체육 시간에 사용하는 공과 계주용 바톤 등에서 기준치의 최대 20배에 이르는 납이 검출되고, 환경호르몬은 최대 312배 초과 검출되는 등 초등학생들의 학습환경이 심각하게 오염돼 있었습니다. 그 주요 내용을 카드뉴스로 보여드립니다.

[보도자료] 초등학교 학습교구 환경호르몬 실태조사 결과 발표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 초등학교 학습교구 환경호르몬 실태조사 결과 발표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유명무실? 초등학교 학습교구에 환경호르몬 다량 검출 농구공·축구공·배구공 등에 납, 프탈레이트 무분별한 사용 체육교구는 범용제품이란 이유로 규제 기준 없어 학습교구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KC 인증 제품으로 교체 시급 ▣ 일시 : 2016년 9월 22일(목) 오후 1시 40분 ▣ 장소 : 국회 정론관 ▣ 주최 : 여성환경연대, 일과건강,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국회의원 김민기(교문위), 국회의원 우원식(산자위) ▣ 주관 :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 후원 : 서울특별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 초등학생 체육교구 72% 환경호르몬, 납 초과검출 농구공·배구공·야구글러브 등에서 고농도 납 나와 실내 체육관 내장재, 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