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자학교] 화학안전주간, 유자학교도 함께 해요!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운 안전한 학교’ 유자학교 가방에서도, 지우개에서도, 가구와 축구공, 색연필에서도 유해물질 없이 건강하게 학교다니려면 어떻게해야 할까? 이 어려운 주제로 송중초등학교 아이들과 함께 수업을 했습니다. 어떻게 했는지 궁금하시죠? 환경부 #화학안전주간 에서 방영 될 유자학교 예고편을 공개합니다! 11월 5일(목) 오후 3시30분~4시 ‘유자학교’ 본편은 환경부 유투브, 페이스북, 네이버TV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송중초등학교 친구들과 함께하는 유자학교! 많이 봐주세요! 더불어…

[납 페인트] 국제 납 퇴출 캠페인 WHO의 메세지

국제보건기구WHO에서 2020년 국제 납 퇴출 캠페인 기간을 맞아 납 사용을 중지하자고 호소하는 메세지를 내놓았습니다. 국제 납 퇴출 캠페인은 매해 열리는 국제 환경보건 캠페인으로, 2020년 10월 25일부터 31일까지 8번째 캠페인이 열립니다. 생활용품에 다양하게 사용되는 유해 중금속인 납은 어린이 지능과 신경발달을 해치고 환경에 쌓여 생태계와 인간 건강에 영향을 미칩니다. 납을 사용하지 않고도 좋은 질의 제품을 생산할 만큼…

[유자학교] 유자 아닌 ‘유자’소개

여러분 안녕? 나는 “유자”라고 해. 내 이름은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운 학교란 뜻이야!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물건들은 화학물질로 만들어지는데, 이 중 어떤 물건에는 우리 건강을 해치는 유해물질이 들어있어. 유해물질은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등을 말하는 거야. 아토피, 천식, 비만, ADHD 알고 있지? 이런 게 모~두 유해물질에 영향을 받는다고 해. 우리처럼 성장기에 있으면 유해물질이 우리 몸에 더 더 빨리 흡수돼서 위험하대. (으, 무서워) 그래서 유자가 나선 거지!…

[논평] 서울시의 ‘국제기준 준수 납 저감 페인트 사용’ 다자간 협약을 환영한다

[논평] 구글 파일 (내용 업데이트 될 경우 바로 반영) https://docs.google.com/document/d/1T4UZrlsCbH58L64Bm9prvxcJJZqEC4FtGMb0khU-gLc/edit?usp=sharing [논평 IPEN] 작성해주신 IPEN의 조 디간지 님께 감사드려요!https://ipen.org/news/south-korea-require-lead-safe-paints-seoul-city-managed-facilities-and-public-places 2020년 9월 25일 서울시는 ‘국제기준 준수 납 저감 페인트 사용 다자간 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납 함량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수준 이하로 낮고 안전성이 뛰어난 제품을 시가 관리하는 시설과 공공장소에 사용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협약에는 5개 페인트 제조기업과 한국페인트잉크공업협동조합,…

[납 페인트] 서울시 ‘국제기준 준수 납 저감 페인트 사용 다자간 협약’ 기사

2020년 9월 25일 서울시는 ‘국제기준 준수 납 저감 페인트 사용 다자간 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납 함량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수준 이하로 낮고 안전성이 뛰어난 제품을 시가 관리하는 시설과 공공장소에 사용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협약에는 5개 페인트 제조기업과 한국페인트잉크공업협동조합, 서울시설공단, SH공사, 녹색서울시민위원회 등이 참여한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 협약을 통해 서울시설공단이 관리하는 공공시설물과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분양·임대·관리하는 공공주택 등의 내·외관에…

[뉴스] 유니레버 “2030년까지 세제 원료서 석유화학 물질 퇴출”

석유에서 추출한 화학성분은 기후위기를 일으키고 일부 성분은 환경호르몬 등 유해물질로 작용합니다. 유니레버가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목표를 수립하고, 그 일환으로 석유계 세제 원료를 퇴출한다고 합니다. 세탁이나 청소용 세제에 투입되는 화학약품은 이 회사 가정용품 사업 부문의 탄소 배출량 중 약 40%를 차지합니다. 석유계 성분=유해성=기후위기=탄소배출량, 이렇게 이어지는 고리를 끊겠다는 선언입니다. 유니레버의 과감한 결심이 어떻게 결실을 맺는지 궁금합니다.…

[전자신문] 프탈레이트계 4종 유해물질 금지 소형 가전제품 적용!

전자신문에 따르면 환경부는 내년 1월 1일부터 프탈레이트계 유해물질 4종을 전자제품 제작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제한다. 프탈레이트는 동물이나 사람의 생체 호르몬 작용을 방해하는 내분비 교란 물질이다. 사용이 금지되는 물질은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부틸벤질프탈레이트(BB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DIBP) 등 프탈레이트계 물질 4가지다. 프탈레이트는 현재 가전 전원 코드부터 냉장고 소음 방지 고무, 충전용 케이블 등에 사용된다. TV, 냉장고, 세탁기 같은 대형 가전부터 헤어드라이기…

[2020 겨울학교3] 플라스틱 유해성 연구

원래 2020년, 2월에 예정되어 있던 유해물질 활동가 네트워크 및 공부 시간인 ‘겨울학교’가 초여름에 열리게 되었습니다. 지난 2월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강의를 열지 못한 점 죄송팝니다. 오픈하지 않고 비공개로 운영위 참여 단체 소속 활동가들만 하루에 4강을 듣는 형태로 축소하였습니다. 2020 겨울학교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살생물제 관리 제도의 사회적 배경과 국내 살생물제 관리 방향 : 김신범 운영장 (발암행동)…

[뉴스] ‘석면 오염 의혹’ 존슨앤드존슨 베이비파우더, 북미서 판매 중단

‘석면파동’을 일으킨 존슨앤존스 탈크 파우더가 북미 시장에서 사라진다고 합니다. 탈크 대신 안전한 옥수수를 사용한다네요. 그런데 우리는? 여전히 탈크 파우더가 시장에서 판매 중입니다. 전체 원문 보기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45695.html ‘석면 오염 의혹’ 존슨앤드존슨 베이비파우더, 북미서 판매 중단 등록 :2020-05-20 11:43수정 :2020-05-21 02:16 (한겨레 신문) 원문보기: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45695.html#csidxd071453ff4453459d88d73ddc7a0375 

[정책] 재활용 플라스틱 속 유해물질, 한국은 면제라고?

장난감, 소비자 제품 등의 일상용품에 독성물질이 가득하네 유해물질이 든 플라스틱이 재활용되면 유해물질도 사라지지 않고 순환한다. 고로 난연제 성분을 포함한 제품이 재활용되면 난연제 성분(Brominateddioxins) 또한 재활용된다. 재활용 소재를 사용한 장난감과 소비자 제품에서 유해한 난연제 성분이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