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집] 창립총회 및 화평법토론회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원한다’
2013년 11월 12일에 진행된 발암물질국민행동 창립총회와 화평법 토론회 자료집입니다.
2013년 11월 12일에 진행된 발암물질국민행동 창립총회와 화평법 토론회 자료집입니다.
휴가철이 본격으로 시작됐습니다. 여름휴가 때면 꼭 챙기는 물놀이 용품, 모기 퇴치제, 자외천 차단제는 얼마나 안전할까요? 많이 바르거나 사용하면 사람 몸에 해는 없을까요? 발암물질감시네트워크는 2010년 여름 휴가철을 맞아 시민들에게 ‘여름휴가 시민안전가이드’를 제시했습니다. 무심코 바르거나 사용한 이들 용품에 어떤 유해한 물질이 들어있는지, 대신할 것은 없는지 궁금하신 분은 첨부한 파일을 내려받아 확인하세요.
Details안전한 어린이 용품을 위해 시민단체와 정부 국회 그리고 마트가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지난 12월 19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 어린이 용품 유해물질 저감대책 마련 토론회– 어린이 용품 안전관리 제도개선 방향 및 대형마트의 적극적 역할에 대하여 입니다. 토론회 내용을 한눈에 살필 수 있는 자료집을 함께 첨부했습니다.
Details시민과 함께 만드는 환경보건 정책 토론회가 2018년 10월 23일에 열렸습니다! ○ 취지 및 배경 – 서울시와 시민사회는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 만들기’ 협치 사업을 통해 학교와 어린이집, 네일숍, 공공화장실 등 유해물질 사용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시민의 안전을 위해 대안을 마련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음 – 관련 협치의 성과로 서울시 환경보건조례가 제정되고, 시민 안전을 위한 첫걸음이 시작됨. 또한 시민과 밀접한 공간에서의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정책적 대안들이 제시됨…
Details환경정의에 펴낸 생활 속 화학물질을 총망라한 자료집입니다. 뒷부분 부록에 생활 속 화확물질 171 리스트가 나와 있으니 참고하세요.
Details안타깝게도 3D 펜으로 수업하시던 과학 선생님이 암으로 돌아가시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요술 펜처럼 부리는 3D 펜이 넘 신기하고 재미있지만, 아래와 같이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3D 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 문제, 어떻게 사용하면 좀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지 사용방법, 그리고 정부, 기업, 저희 개개인이 좀 더 안전한 제품을 위해서 노력해야 할 점이…
Details페인트의 납 검출시험 이후 제도적으로 납을 규제하기 위해 페인트 업계, 환경부, 신창현 의원실, 발암행동, 그리고 국제단체인 IPEN이 모여 정책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개최하였습니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의 이윤근 소장님께서 좌장을 김원 팀장님과 IPEN의 조 디간지 님께서 발제를 맡아주셨습니다. 그리고 환경부, 주요 4대 페인트 업체, 발암행동 고금숙 활동가가 토론을 하였습니다. 김원 팀장은 2019년 서울시 녹색위 사업으로 진행한 41개 페인트 납…
Details자료집 – PVC없는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min다운로드
목차 Part 1. 2019 시민노동자가 만드는 화학안전포럼 정책보고서 시민 노동자 정책은 왜 필요한가 포럼은 어떻게 설계되었나 포럼 질문 그리고 질문이 낳은 질문 포럼 평가 한국사회 안전해질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안전해질까 시민과 노동자의 화학안전 정책 Part 2. 더 읽어보기 자료 2019 화학안전정책포럼 몸풀기 발제 자료 우리는 어떤 사회를 원하는가 국민이 원하는 관리 VS 현재의 관리…
Details